Welcome to Dynamic C#(8) - DLR이 나무를 사랑하는 이유

C# 2009. 9. 21. 09:0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아아... 이거슨 Love Story.

오늘 말씀드릴 내용은 DLR이 왜 Expression Tree(이하 표현나무)를 처음에는 박대하다가 나중에 가서는 "역시 난 니가 아니면 안되나봐 ㅠ_ㅠ"같은 대사를 날리게 되는지 Jim Hugunin의 증언을 통해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달콤 쌉싸름하고 무슨말인지도 잘 모르겠는 러브스토리를 한번 감상해보시져.


- 누군가가 필요하긴 했어. 하지만 너 아닌 다른 나무라도 괜찮을 거 같았어.

 지난 시간에 말씀드렸듯이 C# 3.0에 표현나무가 추가된 이유는 쿼리가 실행되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서 최적화를 하기 위해서 컴파일된 IL코드의 형태보다는 자료구조의 형태가 훨씬 수월하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리고 DLR은 닷넷 프레임워크에서 실행되는 동적 언어들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주고, 각 언어들끼리 그리고 정적언어들과도 서로 대화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장치인데요. 그렇다면, 언어별로 내부적인 구현의 차이점이 있을 수 있겠고 한 언어에서 작성한 코드를 다른 언어에서도 사용가능하려면, 둘 사이에 변환과정이 있어야 하겠고 그 변환과정을 수월하게 해줄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겠죠. 어떤 가요? DLR과 표현나무의 러브스토리의 윤곽이 좀 잡히시나요?

Jim Hugunin에 따르면 애초에 DLR을 설계할때 코드를 표현할 공통자료구조로 트리형태를 생각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타입이 없으면서 런타임에 late-bound되는 노드들로 구성된 트리로 구현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 당시에 IronPython에 맞게 구현된 트리에는 타입이 있는 노드가 ConstantExpression딱 하나였다고 합니다. 상수 값이면 뭐든지 가지고 있는 노드 말이죠. 그리고 자신들이 생각하고 있는 트리와 표현나무 사이에는 공통점이 없다고 생각했었다고 합니다. 왜냐면 정적언어에서 쓰는 게 동적언어에는 안 맞을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라는 군요. 그래서 독립적으로 트리를 구성해 나갔다고 하네요.


- 하지만, 다른 나무들을 만날 수록 니가 그립더라.

하지만, 다른 언어의 구현을 추가하면서, 기존의 DLR트리에 각 언어의 특징을 제대로 표현하기 힘들어졌다고 하는군요. 각 언어의 특징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한데, 그렇다고 해서 직접적으로 그 언어의 특징을 위한 노드를 추가할 수 는 없었다네요. 아마도 DLR트리는 DLR에서 도는 언어들이 공통적으로 공유하게되는 자료구조인데, 특정언어에만 있는 노드를 추가하면, 점점 지저분해 지기 때문이겠죠.

예를 들면, Python의 print문을 보면, 내부적으로 print문은 Python에서 출력에 대한 걸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해 알고 있는 static 메서드를 호출한다고 하는군요. 그래서 DLR트리에 static 메서드 호출노드를 추가했다고 합니다. 그러면 print호출은 static 메서드를 호출하는 걸로 연결할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이런 작업을 하다보니깐, 그동안 개발팀이 추가해오던 노드들이 정적인 타입이 적용되는 표현나무의 각 노드랑 딱 들어맞는 다는 걸 깨달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다시 만드는 대신에 기존에 잘 쓰고 있는 걸 확장하자고 마음을 먹었고, 기존의 표현나무에 동적인 연산이나 변수, 이름 바인딩, 흐름제어등을 위한 노드를 추가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DLR에서 동작하는 언어가 이런 트리형태를 만들어 내게 되면서 각각의 언어에 맞는 최적화를 수행하는게 수월해졌습니다. 지난 포스트에서 설명드렸던 표현나무를 사용하면서 얻는 장점과 매우 동일한 점입니다. 그래서 각 언어의 컴파일러는 코드를 표현나무의 형태로 만들어서 그 표현나무를 DLR에게 전해준다고 하는 군요.


- 그들은 현재 잘 살고 있답니다.

Jim Hugunin의 PDC2008의 "Dynamic Languages In Microsoft .NET"의 슬라이드를 통해서 각 언어별로 나타나는 표현나무의 모양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C#에서 구현한 팩토리얼을 표현나무로 옮긴다면 아래와 같다고 하는군요.



그리고 이걸 dynamic을 써서 C#에서 작성하면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 붉은 색으로 변화가 있는 부분이 있죠? 이 부분이 동적인 타입을 적용한 부분인데요, 즉 "==", "*", "-"같은 DLR의 표준메세지 객체를 이용해서 모든 언어에서 사용가능하도록 하면서 C#에서 왔다는 걸 표시해서 C#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고 합니다.



1과 2를 비교해보시면 어떤 노드가 추가됐는지 확일 할 수 있군요. 그리고 동일한 코드로 IronPython에서 만든 표현나무는 아래와 같습니다.



C#대신에 Python바인더를 사용하고 있구요, 메서드 호출부분에서 global field를 참조하는 부분이 있는데요, 이 부분은 닷넷의 프로퍼티를 통한 static field와 거의 완벽하게 들어 맞는다고 하는군요. 그래서 약간의 코드만 추가하면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래는 루비의 표현나무입니다.



루비는 함수형언어 개념의 표현식을 기반으로 하는데요 구문이라는게 없고 모든 루비의 코드 한라인 한라인은 값을 리턴하는 구조라고 하는군요. 그래서 return 같은 구문을 안써도 되므로 표현나무와 자연스럽게 어울린다는 군요.

즉, 각 언어에서 나온 트리가 모양이 조금씩 다르긴 한데 전체적으로 비슷한 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런 각 언어에서 나온 표현나무를 분석해서 모든 트리에서 공유하는 폼으로 만들 수 있다는 군요. 아직 어떻게 정확하게 그렇게 할 수 있는지는 명확하게 설명된게 없어서(혹은 제가 못찾아서-_-, 제가 몰라서-_-) 더 설명드리기는 조금 힘들거 같군요.


- 마치면서

확실히 제게는 조금 벅찬 주제일 수도 있지만, 제가 이해한 범위내에서 최대한 명쾌하게 설명드리려고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틀린부분이 있을 수 있겠죠. 그렇다면 여러분의 지식을 공유하시면서 따쓰한 피드백을 주시기 발합니다. 캬캬캬....


- 참고자료

1. http://blogs.msdn.com/hugunin/archive/2007/05/15/dlr-trees-part-1.aspx
2. http://channel9.msdn.com/pdc2008/TL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