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들까지 언급한 내용을 기반으로 해서,
간단한 테셀레이션 작업을 구현해 보려 합니다.

당연한 얘기이겠지만,
하드웨어 기반의 테셀레이션은 하드웨어의 지원이 없으면 매우 느립니다.
즉 DirectX11 이상을 지원하는 그래픽 카드가 아니면,
효과를 눈으로 확인하는 것조차 무척 고통스럽습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 만들 테셀레이션은 간단히 삼각형 하나를 이용합니다.
우리는 이 삼각형 하나를 가지고 테셀레이션 작업을 수행할 것이며,
DirectX11 을 지원하지 않는 그래픽카드라면
강제적으로 REF 모드로 테셀레이션 작업을 수행하도록 합니다.

먼저 결과 샘플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이제 우리가 만들려는 그림이 그려졌으니, 직접 코딩 작업을 시작하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DirectX11 의 기본 셋팅과 관련한 사항은 생략합니다..^^
자세한 API 적인 설명은 생략을 하니 DirectX 2010 6월 버전의 SDK 의 튜토리얼을 참고하시거나,
'알코코더의 DirectX11' 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우리가 이번 샘플에서 사용할 버텍스 데이터의 형식은 위치 정보만 있으면 됩니다.
이번 샘플에서는 최대한 간단하게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기 때문에,
많은 정보를 필요로 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간단한 버텍스 형식을 정의했습니다..^^



생소한 데이터 타입이 보입니다. 바로 XMFLOAT3 입니다.
DirectX11 부터는 D3DX 계열의 수학 데이터 타입들은 더 이상 업데이트 되지 않습니다.
지금부터는 XNA Math 라는 수학 라이브러리를 사용합니다.
그렇다고 더 이상 D3DX 계열의 수학 데이터 타입들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니, 안심하시기 바랍니다.
이들에 대해서는 향후 언급할 기회가 있으니,
지금은 D3DX 계열의 수학 클래스 대신에 XNA Math 라는
새로운 수학 클래스를 사용한다는 정도로만 인식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아래는 우리가 애플리케이션 전역으로 사용할 변수들의 선언입니다.



그 동안의 DirectX11을 언급하면서 꾸준히 언급되던 내용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특이할 만한 것이라면, 래스터라이져 스테이트 오브젝트를 2개 만드는 것입니다.
이는 우리의 샘플이 솔리드( Solid ) 한 렌더링과 와이어프레임( Wire-Frame ) 기반의 렌더링으로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상수버퍼( ConstantBuffer ) 에 관한 전역 선언들 입니다.



우리는 월드 좌표계의 정점을 버퍼에 입력할 것입니다.
그래서 View-Projection 행렬만 변환을 위해서 필요합니다.
그리고 얼마나 테셀레이션 작업을 세밀하게 할지를 결정하는 상수를 하나 추가합니다.



쉐이더를 컴파일 해주는 보조 함수를 다음과 같이 하나 만듭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을 합니다.
InitD3D() 에 각종 초기화 작업을 수행합니다.
앞서 잠깐 언급드렸듯이,
DirectX11을 지원하는 하드웨어가 아니면, 강제로 REF 모드로 동작하도록 합니다.
또한 이 함수에서는 각 쉐이더 스테이지에 대응되는 HLSL 코드를 컴파일 해줍니다.
그리고 이들에 대한 각 오브젝트를 만듭니다.
초기화 작업은 주로 반복적인 작업이 많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합니다.

InitD3D() 에 버텍스버퍼의 데이터를 설정해 줘야 합니다.
이번 샘플에서는 월드 좌표로 정의된 삼각형을 사용할 것입니다.
또한 카메라 공간에 대한 설정도 같이 해 줍니다.
이들에 대한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 정도로 초기화와 관련된 작업을 마무리 합니다.
이제는 프레임 관련한 처리를 작성합니다.( Render() )

이 Render() 부분에서는 상수버퍼에 설정할 데이터들을 다음과 같이 업데이트 합니다.

 


우리는 와이어프레임 모드와 솔리드 모드의 렌더링 방식 둘 다를 표현할 것이기에,
이들에 대한 설정도 아래와 같이 고려해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입력되는 버텍스 형식을 알려주고 버텍스 버퍼를 연결한 후에,
그리기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제 키보드 이벤트에 따라 약간의 변화를 주는 작업을 합니다.
현재는 'w' 키로 렌더링 모드를 Wire 와 Solid 간의 토글이 되도록 설정합니다.
그리고 위/아래 방향키로 테셀레이션의 분할 정도를 증감합니다.

이번 작업은 여기까지 입니다.
지금까지 DX11을 살펴보면서, 언급된 내용들이 대부분이라 전체적으로 설명드리지는 않습니다.
( HLSL 코드도 최대한 간결하게 작성했습니다..^^ )
샘플을 같이 첨부드리니, 직접 작성하시면서 익혀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