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회부터 너무 쌘건가? 독자 분들도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크로스 플랫폼 개발 환경 만들기"라는 주제인데, 혹여 뭔가 대단한 것을 만들려고 하는 것은 아니니 너무 큰 기대는 하지 않길 바랍니다. 이 글은 필자가 크로스 플랫폼 개발 환경을 만들면서 여러 번 수행 착오를 겪은 부분을 공유하기 위함입니다.  

일단, 크로스 플랫폼 개발 환경을 만들기 위해 필자가 선택한 운영체제는 우분투 12 LTS 버전입니다. 맥OS는 리눅스 기반이면서 맥에서만 100% 설치 성공 가능한 운영체제입니다. 뭐 해적판도 있겠지만, 그런 고생은 불법적인 방법이므로 피하는게 좋겟지요.  

우분투12를 선택한 김에 우분투 운영체제에 대한 소개 좀 해봅니다. 우분투는 리눅스라고 하는 수 십 년 전 멀티 테스킹(멀티 쓰레딩)을 지원하는 운영체제 입니다.

   

필 자가 리눅스를 접했던 때는 초등학교 때였는데, 그 때는 플로피디스크 4장으로 설치를 하던 까만 바탕화면의 그런 운영체제 였습니다. 초롱불 같은 좀 허접한 사설 BBS를 날로 뚫었던, 난 "크래커야!" 라는 뿌듯한 자부심으로 사용하던 것이 바로 리눅스였습니다. 더불어 리눅스는 소스 코드가 공개가 되어 있어서 상당한 보안 취약점이 존재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vi 와 같은 것들은 해커들이 가장 좋아하던 공격 대상이었지요. 그러면서 리눅스에 X-Windows 라고 하는 GUI 그래픽 인터페이스이 탑재가 되었고, 쭉쭉 발전해서 현재와 같은 모습이 되었습니다.

   

우분투데비안 계열에서 파생된 운영체제 입니다. 또 데비안은 머꼬?? 이 데비안 리눅스는 굉장히 많은 CPU의 아키텍처를 지원하기 때문에, 서버 용도로 안성맞춤이었죠. 심지어 ARM 코어도 지원하고, 듣도 보지도 못했던 아키텍처들도 지원을 하네요.  

데비안에서 파생된 우분투는 이러 저러 잡다한 것들 다 빼고, 사용자가 친숙하게 사용하기 위한 용도로 설계가 되었고, 데스크 탑 용도로는 안성 맞춤이지요. 이 우분투는 서버와 데스크 탑 용이 별도로 존재하는데, 그 중 데스크 탑 우분투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X86과 AMD64 아키텍처를 지원합니다. 쩝.. 그러니까 여러 분이 가진 PC나 노트북에서는 다 돌아 가겠고요. ARM 코어 컴퓨터가 있으면 당장이라도 ARM 코어를 지원하는 우분투 서버 버전을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아무튼 쥑이는군요.

   

  

사설은 여기서 마치고, 일단 설치부터 해보아야겠지요? 우분투는 2가지 방식의 설치를 지원합니다.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요.

   

첫 번째, 설치 방식은 별도 파티션을 나누지 않고도 멀티 부팅이 가능한 우비(wubi) 버전입니다. 우비는 NTFS 파일 시스템(일반적으로 윈도우에서 쓰는)을 마치 물리적인 파티션으로 인식하도록 하여, 설치를 합니다. 가령, C:\ubuntu 폴더가 하나의 파티션이 되는 것이지요. 그냥 짬짬히 쓸 생각이라면 우비 버전으로 설치하시면 되겠습니다.

두 번째, 가장 일반적인 파티션을 분할하여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아참… 여기서 아마 VirtualBox나 HYPER-V에 설치하려고 하는 분 계실 겁니다. 제가 정말 장담하건데 개인용 컴퓨터에서 가상화하여 설치하면 얼마 못가서 지울 겁니다. 그리고 제 성능도 안나옵니다. 영화를 아이폰으로 보는 것과 iMAX 로 보는 것과의 차이입니다. 꼭 한번쯤은 우비나 파티션을 나누어서 설치해 보세요. 후회하지 않을 겁니다.

   

   

   

   

첫 번째, 우비(wubi) 버전으로 설치해 봅시다. (구경만 해보실 분)

먼저 http://www.ubuntu.com/download 링크로 가봅시다. 아래에 우분투 데스크탑 버전으로 클릭합니다.

   

그리고 화면 스크롤은 반 쯤 내려보세요. 그럼 "Windows Installer" 설치 다운로드가 보입니다. 요거 그냥 따블 클릭해서 실행 파일을 실행하면 됩니다. 아까 얘기한대로 이것을 설치하면 가상 파티션이 생성되어 멀티 부팅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설치/제거"에서 wubi 를 삭제하시면 우분투도 금방 삭제가 됩니다. 정말 획기적입니다.

   

아래와 같이 설치할 드라이브와 적당한 가상 파티션의 크기를 지정해 주세요. 왠만하면 30GB 선택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설치하기를 선택하시고 그 이후의 일은 여러분에게 맡기겠습니다….

   

   

   

   

두 번째, 진정한 리눅스의 성능을 느끼시려면, 파티션을 나누어 설치를 해야겠지요.

먼저 http://www.ubuntu.com/download 링크로 가서 설치하고자 하는 우분투 버전을 선택하면 됩니다. (32bit, 64bit 택일). 32bit 가 추천으로 되어있지만, 필자는 추천 항목은 안씁니다^^. 그래서 저는 64bit 버전을 선택해서 ISO 파일을 다운로드 받았답니다.

   

   

이 ISO 를 USB나 CD로 구우시면 되겠습니다만, USB로 구우실 거면 이 http://www.pendrivelinux.com/universal-usb-installer-easy-as-1-2-3/ 링크에서 USB로 금방 구워주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봅시다. 이 소프트웨어는 아래처럼 생긴 물건입니다.

   

그리고 설치할 파티션을 미리 확보하시기 바랍니다. 용량이 모자라시면 파티션 축소하셔서 남은 용량을 짜 내시면 됩니다. 물론 파티션은 "주 파티션"으로 만들어야겠지요?

그리고 아래의 스크린 샷을 쭉쭉 보시면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쭉쭉 보시다가 중요한 부분에서 다시 말씀 드리겠습니다.

   

   

   

   

   

   

자 여기에서 당황하지 마시고, 아래와 같이 멀티 부팅이 가능하도록 첫 번째 항목을 유지한 채 다음으로 넘어가면 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칸막이 조절 막대가 있는데, 참 애매해 보이네요. 파티션 이름이나 파티션 주체에 대한 내용이 나오지 않아 혼란스럽습니다. 아래에 "고급 파티션 도구" 보이시죠? 그냥 고급 파티션 도구를 써서 설치해 봅시다.

   

설치를 시작하기 전에 파티션을 마련해 놓으라고 했는데, 여기에서 그 파티션을 선택하면 되겠군요. "주 파티션"으로 설치하면 멀티 부팅이 됩니다. 그리고 리눅스에서 즐겨 쓰는 EXT4 파일 시스템을 선택하고, 마운트 위치를 / 로 잡아줍니다.

   

여기서 잠깐 파일 시스템에 대해서 얘기하자면, 윈도우에서는 NT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죠. 과거 FAT 파일 시스템은 최대 디스크 용량과 파일 길이에 제한이 있었고, 점점 파일들의 크기가 증가하면서 파일당 할당되는 블록이 점점 높아졌습니다. FAT16, FAT32가 대표적이죠. 쉽게 말해 MS-DOS 에서 주로 기반한 파일 시스템이었죠. FAT16 시절에는 파일명 최대 8, 확장자 최대 3… 8.3 법칙이랍니다.

이후 윈도우에서 NTFS 파일 시스템이 나왔습니다. NTFS 파일 시스템으로 암호화를 한다던가, 복구를 한다던가 하는 작업이 가능합니다.

반면, 우분투에서는 EXT 파일 시스템을 주로 사용하는데, EXT4 파일 시스템으로 포멧하시고 설치하시면 됩니다. 혹시 구형 하드 디스크인 경우 EXT2 를 선택하시면 되겠고요.

아 참… 중요한 마운트라는게 있는데, 이는 디렉토리 단위로 관리되는 디바이스라고 보시면 됩니다. 윈도우에서는 C드라이브, D드라이브로 구분이 됩니다. 하지만 리눅스에서는 마운트라고 하여 물리적인 디바이스 단위를 논리적으로 트리 형태의 디렉토리로 관리됩니다. 쉬운 예를 들면, / 는 첫 번째 하드 디스크이고요, /dev/NewDrive 는 새로 산 하드 디스크를 붙였습니다. CD-ROM 도 붙여 볼까요? /dev/cdrom 위치에 놓을 수 있습니다. 원하는 위치에 마운트 시킬 수 있다는 것이죠.

   

   

자 그럼 이제 설치합시다. 그 전에 아래의 붉은 동그라미에 설치가 되므로, 올바르게 멀티 부팅이 되기 위해서 주 파티션을 제대로 선택했는지 재차 확인 합시다.

   

   

키보드는 별탈 없으면 101/104로 선택하세요. 차후에 정신건강에 이롭습니다.

   

사용자 이름과 컴퓨터 이름은 원하는대로 입력하고 후닥 넘어가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