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아티클에서 Visual Studio 2008 과 Visual Studio 2010 을 동일한 소스 코드와 프로젝트로 개발하기 위한 환경을 구성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문제 원인

하지만 지난 시간에 언급한 듯이 테스트 프로젝트가 포함된 경우는 VS2008 과 VS2010 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 이유는 Microsoft.VisualStudio.Quality 프레임워크가 개선이 되고, Microsoft.VisualStudio.TestTools 프레임워크가 도입되면서 기존의 테스트 프레임워크와 비호환적인 부분이 존재하게 됩니다.

아래와 같이 VS2008 에서 작업한 테스트 프로젝트가 있을 경우,

지난 아티클의 방법으로 프로젝트를 변환하게 되면 아래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기존 프로젝트는 기존의 .NET Framework 버전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테스트 프로젝트는 반드시 .NET Framework 4.0 으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하위 프레임워크 버전인 .NET Framework 3.5 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 아래와 같은 오류 메시지가 나타나고, 다시 .NET Framework 4.0 버전으로 변경이 됩니다.

일부 이미 완성된 테스트 프로젝트인 경우 이것보다 더 다양한 오류 메시지를 볼 수 있습니다.^^;

어쨌든, Microsoft.VisualStudio.QualiltyTools 프레임워크가 .NET Framework 4.0 버전으로 고정되어 자칫 테스트 프로젝트가 굉장히 큰 우범을 저지를 수 있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Visual Studio 2010 에서 만든 테스트 프로젝트는 .NET Framework 4.0 이 기본이고 Microsoft.VisualStudio.QualityTools 프레임워크와 Microsoft.VisualStudio.TestTools 프레임워크가 기본 참조(RTM 에서는 제외 됨)이며, 이 프레임워크의 버전도 4.0.xxxxx 버전이라 하위 버전과 호환되지 않습니다.

VS2010 이든 VS2008 이든 테스트 프로젝트가 한번 VS2010 으로 업그레이드 되었다면, VS2008 에서 테스트 프로젝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운그레이드는 그리 쉽지 만을 않습니다. 왜냐하면 VS2008 에서 테스트 프로젝트를 로드하면 프로젝트의 참조가 깨져있습니다.

그 이유는 .csproj 파일을 열어보면 답이 나오는데요. 아예 Microsoft.VisualStudio.QualityTools 프레임워크의 버전 번호를 명시하여 해당 VS2008 에서는 어셈블리 리디렉션(Assembly Redirection) 을 시키기가 좀 애매해 집니다.

   

문제 해결 기본 지식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테스트 프로젝트간의 비 호환적인 테스트 프레임워크로 인한 문제이므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측면에 제한을 둘 수 밖에 없습니다. Visual Studio 2010 에서는 Coded UI, Test Impact 등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고, 기존 테스트 또한 비주얼한 부분이 개선이 되면서 강제적으로 테스트 프레임워크의 버전을 .NET Framework 4 로 고정을 시키는 것 같습니다.

이 문제는 MSBuild 를 통해 해결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식을 알려드립니다. 여러분이 알다시피 MSBuild 는 Microsoft 의 통합 빌드 솔루션입니다. 예전에는 "빌드"라는 말 대신 "컴파일"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었죠. 컴파일이란 소스 코드를 목적 파일 또는 실행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을 "컴파일"이라고 합니다.

컴파일과 빌드를 비교하는 아주 간단한 그림 입니다.
컴파일은 목적은 소스 코드를 목적 파일로 변환하여 실행 파일 또는 라이브러리로 만들기 위한 목적입니다.

빌드는 컴파일의 일련의 과정을 플로우(Flow) 로 처리하여 컴파일 중에 더 많은 작업을 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빌드 솔루션이 MSBuild 이며, 이 외에 Ant 또는 NAnt 등이 바로 이러한 솔루션입니다. 그리고 Team Foundation Server 의 팀 빌드도 바로 MSBuild 에 기반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필자 또한 MSBuild 를 접하면서 나의 지식의 끝을 무한하게 확장해 주었던 것이 MSBuild 입니다. MSBuild 는 정적인 컴파일 방식에서 동적인 방식의 빌드로 거듭나면서 굉장히 많은 가능성을 보여주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Microsoft 의 MSBuild 의 대략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MSBuild 는 Task 의 집합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리고 이 Task 중에 빌드와 연관된 Task 도 있습니다. 이 Task 를 .NET Framework 버전에 따라 Project References(프로젝트 참조)를 변형시키는 방법입니다.

 

해결 방법

이 테스트 프로젝트를 VS2008, VS2010 양 쪽에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 어셈블리 참조를 동적으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이 방법도 MSBuild 의 Choose 라는 조건문으로 제어를 분기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1. 먼저 솔루션 탐색기에서 열려 있는 프로젝트를 언로드 한 후, 편집을 클릭합니다.

2. 그럼 아래와 같이 참조와 관련되어 있는 부분이 ItemGroup 요소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이 ItemGroup 에서 VS2008, VS2010 에서 공통적인 참조 어셈블리를 별도의 ItemGroup 으로 분리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형태가 되겠지요?

4. 테스트와 관련된 ItemGroup 에 Choose 조건 분기 요소를 사용하여 조금 변형해 봅시다. .NET Framework 의 버전 별로 말이죠.

위의 $(MSBuildBinPath) 는 실제로 빌드가 수행할 때의 MSBuild 의 경로를 나타냅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한 가지 함정이 있습니다. Visual Studio 2008 에서는 <Message Text="$(MSBuildBinPath)" /> 가 아래와 같이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 로 나타납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 이 MSBuild 는 v3.5 경로의 MSBuild.exe 를 실행하게 됩니다. 자세한 이유와 내막은 Microsoft.Common.targets 파일을 뒤져보시면 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Choose 조건 분기 요소는 if ~ else 와 같은 구문입니다. ItemGroup 요소는 하나의 항목을 담는 필드라고 보시면 되고, PropertyGroup 은 한 Property 에 여러 항목을 담는 속성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부분은 MSBuild 를 공부해 보시면 어렵지 않는 기본적인 부분이니 자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하지 않겠습니다.

5. 모두 완료 되었습니다. 각각의 VS2008, VS2010 에서 테스트 프로젝트를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만약 Coded UI 와 같은 VS2010 의 새로운 기능을 사용할 경우 아래와 같이 추가적인 어셈블리를 참조하게 됩니다.

이 경우도 위의 4번과 같이 ItemGroup 의 VS2010 용 어셈블리를 아래와 같이 넣어버리면 됩니다.

그럼 VS2008 인지 VS2010 인지에 따라서 참조 어셈블리가 완벽하게 분리가 됩니다.

하지만 VS2008 에서 빌드를 할 경우 아래와 같이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당연히 VS2008 에서는 Coded UI 등에서 필요한 Microsoft.VisualStudio.TestTools 프레임워크가 존재하지 않고, 이 프레임워크를 재사용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로 해결해 볼까요? 위에서 Property 를 재정의한 구문이 생각나실 겁니다. 전처리 지시문의 상수 값으로 사용되는 <DefineConstants> 에 NET4.0 빌드인지, NET3.5 빌드인지 알 수 있도록 상수 값을 선언하였습니다.

이 상수 값을 이용하여 CodedUI 등 VS2010 에서 새로 추가된 부분에, #if ~ #endif 지시문을 사용하여 감싸 주시면 됩니다.

   

이제 Visual Studio 2008 이든 Visual Studio 2010 이든 테스트 프로젝트를 양 쪽 어떤 도구를 사용하든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방법을 완료하였습니다.

WM7 개발에 들어가기전에

Windows Mobile 7 2010. 6. 28. 18:34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WM7을 제대로 공부할려고 하다보니, 제가 WM7을 제법 잘못 알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 같은 분들을 위해서, 실제로 WM7 개발을 시작하기 전에 간단하게 정리를 한번 할려고 합니다.

먼저 설치 환경입니다.

 OS  Windows Vista 이상
 Tools  Visual Studio 2010 express for windows phone CTP
- 기존에 visual Studio 2010 다른 버전을 설치하지 마시길 권장합니다.
 Language  1. Silverlight
2. XNA Framework

 Native는 불가능하고 위의 두 가지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 어플은 Silverlight를 게임은 XNA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전, Silverlight 닮은 꼴인줄 알았는데 그냥 Silverlight 입니다. 즉, C,C++ Native 개발자보다, Silverlight를 아는 사람이 더 개발에 유리합니다.)
 Hardware Spec  1. 800x480 WVGA
2. 4-point multi-touch screen
3. Direct-X 9 Support
4. A-GPS, accelerometer, compass, light, proximity
   , phone’s location Service, Digital Camera
5. Start, Search, Back Button
6. 3G and Wi-fi
7. over 256MB RAM, over 8GB flash Storage

원래 Windows Moblie 의 특징은 (정확히는 CE지만) 크게 하드웨어의 제약을 주지 않았지만, WM7 부터는 WM7로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의 제약이 생겼습니다. 그리고 프로그램 설치도, MS 마켓을 통해서도 개발이 가능합니다.

 이런 부분들이 WM7의 장점이 될지, 단점이 될지는 아직 알 수 없지만, WM7의 기본 UI,UX 나, 개발 환경은 역시 MS 다 라는 생각이 들게 해주는 것 같습니다.

그럼 다음 부터는 실제 WM7 어플을 간단하게 만들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 뜬금없이 뭐여..?

지금까지는 닷넷 4.0에 추가된 TPL과 PLINQ를 통해서 멀티 스레드 프로그래밍을 하는 방법을 살펴봤습니다. 그러면, 잠깐 추억을 되살릴겸, 뭐가 어떻게 달라졌는지도 한번 비교해 볼겸 해서, 닷넷 3.5까지의 멀티 스레드 프로그래밍 방법을 잠깐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호호호호


- Thread와 다이다이로 작업하던 시절.

TPL은 System.Threading.Tasks를 사용해서, ThreadPool을 내부적으로 사용한다고 말씀을 드렸었습니다. 하지만, 그것 닷넷 4.0이나, 닷넷 3.5에서는 Reactive Extension(Rx)을 통해서 추가적으로 지원하는 기능이구요. 그 이전에는 직접적으로 Thread나 ThreadPool을 이용해서 프로그래밍 해야 했습니다. 그럼 Thread를 직접 사용하던 코드를 예제로 한번 보시죠.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Exam18
{
    class Program
    {
        static readonly int max = 10000;

        public static void PrintAsync()
        {
            for (int count = 0; count < max; count++)
            {
                Console.Write("|");
            }
            Console.WriteLine("추가 스레드 끝");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eadStart threadStart = PrintAsync;
            Thread thread = new Thread(threadStart);

            //추가 스레드 시작
            thread.Start();

            //현재 작업중인 스레드에서도 반복문 시작
            for (int count = 0; count < max; count++)
            {
                Console.Write("-");
            }
            Console.WriteLine("메인 스레드 끝");

            //혹시 현재 스레드가 빨리 끝나더라도,
            //추가 스레드가 끝날 때 까지 기다리기.           
            thread.Join();
        }
    }
}

<코드1> Thread와 다이다이로.

<코드1>을 보면, 맨 처음에 Task를 소개해드리면서 사용했던 예제를 Thread를 사용하도록 바꾼 코드입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ThreadStart타입의 델리게이트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과, Wait()메서드가 아니라 Join()메서드를 사용한다는 것이죠. 결과를 보시면, Task를 사용했던 것과 동일합니다.

---------|||||||-|||||||||||--------------|||||||||-------------|||||------|||||||||||---------
-||||||||--------|||||||||||||-----메인 스레드 끝||||||||||||||||||||||||||||||||||||||||||||||
||||||||||||||||||||||||||||||||||||||||||||||||||||||||||||||||||||||||||||||||||||||||||||||
||||||||||||||||||||||||||||||||||||||||||||||||||||||||||||||||||||||||||||||||||||||||||||||
|||||||||||||||||||||||||||||||||||||||||||||||||||추가 스레드 끝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1> Thread를 사용한 결과.

그리고 Thread를 보면, Task와 마찬가지로 실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몇가지 속성을 제공하는데요, 그 목록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속성  설명 
 Join()  추가 스레드가 완료되기 전에 메인 스레드가 완료되면, 추가 스레드가 하던 작업은 다 날아간다. 그래서 추가 스레드의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메인 스레드가 기다리도록 한다.
 IsBackground  이 속성은 기본적으로 false이다. 즉, 스레드는 기본적으로 foreground작업인데, 그 때문에 스레드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없다. 이 속성을 true로 주면, 스레드의 작업이 완료되기 전에도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있다.
 Priority  Join메서드를 사용한 경우에, 이 속성을 통해서 스레드의 우선순위를 바꿀 수 있다.
 ThreadState  이 속성을 통해서 스레드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데, Aborted, AbortRequested, Background, Runnging, Stopped, StopRequested, Suspended, SuspendRequested, Unstarted, WaitSleepJoin등의 상태 값을 얻을 수 있다.
 Thread.Sleep()  현재 실행 중인 스레드의 실행을 명시한 시간만큼 일시정시 시키는 메서드이다.
 Abort()  이름 그대로, 스레드를 중지시키는 메서드. ThreadAbortException이 발생된다.
<표1> Thread의 속성.

위의 Thread멤버 중에서, Task에도 있는 건, Join()과 ThreadState뿐입니다. 왜 그럴까요?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는 것들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닷넷 프레임워크 4.0으로 프로그래밍 할 때는, 위에서 언급한 것들 중에서 Task에 없는 속성들을 될 수 있으면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 ThreadPool을 사용해보자.

ThreadPool을 사용하면, 새로운 스레드를 계속 해서 생성하기 보다 기존에 있는 스레드를 재활용해서 추가적인 스레드 생성을 막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TPL이 내부적으로 ThreadPool을 사용한다고 말씀드렸었죠? 그럼 ThreadPool을 사용하는 예제도 한번 보시죠.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Exam19
{
    class Program
    {
        static readonly int max = 10000;

        public static void PrintAsync(object state)
        {
            for (int count = 0; count < max; count++)
            {
                Console.Write(state.ToString());
            }
            Console.WriteLine("추가 스레드 끝");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eadPool.QueueUserWorkItem(PrintAsync, "|");
           
            //현재 작업중인 스레드에서도 반복문 시작
            for (int count = 0; count < max; count++)
            {
                Console.Write("-");
            }
            Console.WriteLine("메인 스레드 끝");

            //혹시 현재 스레드가 빨리 끝나더라도,
            //추가 스레드가 끝날 때 까지 기다리기.           
            Thread.Sleep(1000);
        }
    }
}

<코드2> ThreadPool을 사용한 코드.

<코드2>를 보시면, ThreadPool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QueueUserWorkItem메서드를 통해서 작업을 추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스레드를 활용해서 작업을 시작하게 되구요. 결과는 앞선 예제와 동일합니다. 그런데, ThreadPool을 사용할 때 장점만이 있는 건 아닌데요. 작성한 코드외에도 다른 라이브러리등에서 내부적으로 시간이 많이 걸리는 I/O작업 등에 ThreadPool을 사용한다면, 그 작업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데드락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Thread나 Task를 사용할 때와는 다르게 ThreadPool은 실행 중인 작업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그래서 실행 중인 작업을 조종한다거나, 상태를 확인할 수 가 없죠. 그래서 <코드2>를 보시면, Join()이나 Wait()대신에, Thread.Sleep()메서드를 통해서 추가 스레드가 끝날 때까지 메인 스레드를 기다리게 합니다.


- 마치면서

오늘은 닷넷 3.5 까지의 멀티 스레드 프로그래밍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크게 다른 모습은 없습니다. 다만, 좀 더 안전하고 간단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죠. 대한민국도 16강에 진출했는데 오늘은 여기까지 하시죠!...응??


- 참고자료

1. Essential C# 4.0, Mark Michaelis, Addison Wes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