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뜬금없이 뭐여..?

지금까지는 닷넷 4.0에 추가된 TPL과 PLINQ를 통해서 멀티 스레드 프로그래밍을 하는 방법을 살펴봤습니다. 그러면, 잠깐 추억을 되살릴겸, 뭐가 어떻게 달라졌는지도 한번 비교해 볼겸 해서, 닷넷 3.5까지의 멀티 스레드 프로그래밍 방법을 잠깐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호호호호


- Thread와 다이다이로 작업하던 시절.

TPL은 System.Threading.Tasks를 사용해서, ThreadPool을 내부적으로 사용한다고 말씀을 드렸었습니다. 하지만, 그것 닷넷 4.0이나, 닷넷 3.5에서는 Reactive Extension(Rx)을 통해서 추가적으로 지원하는 기능이구요. 그 이전에는 직접적으로 Thread나 ThreadPool을 이용해서 프로그래밍 해야 했습니다. 그럼 Thread를 직접 사용하던 코드를 예제로 한번 보시죠.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Exam18
{
    class Program
    {
        static readonly int max = 10000;

        public static void PrintAsync()
        {
            for (int count = 0; count < max; count++)
            {
                Console.Write("|");
            }
            Console.WriteLine("추가 스레드 끝");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eadStart threadStart = PrintAsync;
            Thread thread = new Thread(threadStart);

            //추가 스레드 시작
            thread.Start();

            //현재 작업중인 스레드에서도 반복문 시작
            for (int count = 0; count < max; count++)
            {
                Console.Write("-");
            }
            Console.WriteLine("메인 스레드 끝");

            //혹시 현재 스레드가 빨리 끝나더라도,
            //추가 스레드가 끝날 때 까지 기다리기.           
            thread.Join();
        }
    }
}

<코드1> Thread와 다이다이로.

<코드1>을 보면, 맨 처음에 Task를 소개해드리면서 사용했던 예제를 Thread를 사용하도록 바꾼 코드입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ThreadStart타입의 델리게이트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과, Wait()메서드가 아니라 Join()메서드를 사용한다는 것이죠. 결과를 보시면, Task를 사용했던 것과 동일합니다.

---------|||||||-|||||||||||--------------|||||||||-------------|||||------|||||||||||---------
-||||||||--------|||||||||||||-----메인 스레드 끝||||||||||||||||||||||||||||||||||||||||||||||
||||||||||||||||||||||||||||||||||||||||||||||||||||||||||||||||||||||||||||||||||||||||||||||
||||||||||||||||||||||||||||||||||||||||||||||||||||||||||||||||||||||||||||||||||||||||||||||
|||||||||||||||||||||||||||||||||||||||||||||||||||추가 스레드 끝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1> Thread를 사용한 결과.

그리고 Thread를 보면, Task와 마찬가지로 실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몇가지 속성을 제공하는데요, 그 목록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속성  설명 
 Join()  추가 스레드가 완료되기 전에 메인 스레드가 완료되면, 추가 스레드가 하던 작업은 다 날아간다. 그래서 추가 스레드의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메인 스레드가 기다리도록 한다.
 IsBackground  이 속성은 기본적으로 false이다. 즉, 스레드는 기본적으로 foreground작업인데, 그 때문에 스레드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없다. 이 속성을 true로 주면, 스레드의 작업이 완료되기 전에도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있다.
 Priority  Join메서드를 사용한 경우에, 이 속성을 통해서 스레드의 우선순위를 바꿀 수 있다.
 ThreadState  이 속성을 통해서 스레드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데, Aborted, AbortRequested, Background, Runnging, Stopped, StopRequested, Suspended, SuspendRequested, Unstarted, WaitSleepJoin등의 상태 값을 얻을 수 있다.
 Thread.Sleep()  현재 실행 중인 스레드의 실행을 명시한 시간만큼 일시정시 시키는 메서드이다.
 Abort()  이름 그대로, 스레드를 중지시키는 메서드. ThreadAbortException이 발생된다.
<표1> Thread의 속성.

위의 Thread멤버 중에서, Task에도 있는 건, Join()과 ThreadState뿐입니다. 왜 그럴까요?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는 것들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닷넷 프레임워크 4.0으로 프로그래밍 할 때는, 위에서 언급한 것들 중에서 Task에 없는 속성들을 될 수 있으면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 ThreadPool을 사용해보자.

ThreadPool을 사용하면, 새로운 스레드를 계속 해서 생성하기 보다 기존에 있는 스레드를 재활용해서 추가적인 스레드 생성을 막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TPL이 내부적으로 ThreadPool을 사용한다고 말씀드렸었죠? 그럼 ThreadPool을 사용하는 예제도 한번 보시죠.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Exam19
{
    class Program
    {
        static readonly int max = 10000;

        public static void PrintAsync(object state)
        {
            for (int count = 0; count < max; count++)
            {
                Console.Write(state.ToString());
            }
            Console.WriteLine("추가 스레드 끝");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eadPool.QueueUserWorkItem(PrintAsync, "|");
           
            //현재 작업중인 스레드에서도 반복문 시작
            for (int count = 0; count < max; count++)
            {
                Console.Write("-");
            }
            Console.WriteLine("메인 스레드 끝");

            //혹시 현재 스레드가 빨리 끝나더라도,
            //추가 스레드가 끝날 때 까지 기다리기.           
            Thread.Sleep(1000);
        }
    }
}

<코드2> ThreadPool을 사용한 코드.

<코드2>를 보시면, ThreadPool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QueueUserWorkItem메서드를 통해서 작업을 추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스레드를 활용해서 작업을 시작하게 되구요. 결과는 앞선 예제와 동일합니다. 그런데, ThreadPool을 사용할 때 장점만이 있는 건 아닌데요. 작성한 코드외에도 다른 라이브러리등에서 내부적으로 시간이 많이 걸리는 I/O작업 등에 ThreadPool을 사용한다면, 그 작업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데드락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Thread나 Task를 사용할 때와는 다르게 ThreadPool은 실행 중인 작업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그래서 실행 중인 작업을 조종한다거나, 상태를 확인할 수 가 없죠. 그래서 <코드2>를 보시면, Join()이나 Wait()대신에, Thread.Sleep()메서드를 통해서 추가 스레드가 끝날 때까지 메인 스레드를 기다리게 합니다.


- 마치면서

오늘은 닷넷 3.5 까지의 멀티 스레드 프로그래밍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크게 다른 모습은 없습니다. 다만, 좀 더 안전하고 간단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죠. 대한민국도 16강에 진출했는데 오늘은 여기까지 하시죠!...응??


- 참고자료

1. Essential C# 4.0, Mark Michaelis, Addison Wesley

Welcome to Parallel C#(9) - 백지장은 맞들지 말엉.

C# Parallel Programming 2010. 6. 22. 09:0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이건 또 무슨 신개념 속담 드립인거.

저는 늘 의문을 품어왔습니다...는 훼이크고 이번 포스트를 준비하면서 의문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분명 병렬 프로그래밍의 정신은 남아도는 코어를 활용해서 협력을 해서 작업을 좀 더 빨리 끝내자고 하는 건데요, 그런면에서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 말은 병렬 프로그래밍의 정신을 잘 표현하는 선조들의 지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요.... 과연 백지장같이 갓난 아기도 혼자들 수 있는 걸 같이 드는게 과연 나은 일일까요? 오히려 혼자 할 때보다 못한 결과를 가져오지는 않을까요? 오늘은 그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 LINQ도 맞들면 낫다, 어헣.

LINQ는 데이터 쿼리에 가까운 표현을 사용하면서, 데이터 쿼리시에 직관적이고 선언적인 코드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었는데요. 거기에 이전 포스트들에서 설명드렸던 Parallel.For나 Parallel.ForEach처럼 매우 간단하게 남아도는 코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hreading.Tasks;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Exam15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s = Enumerable.Range(1, 10000).ToArray();

            Func<int, int> square = (num) => {
                Console.WriteLine(Task.CurrentId);
                Thread.Sleep(10);
                return num * num;
            };

            nums = nums.AsParallel()
                .Select(square)
                .ToArray();
        }
    }
}

<코드1> LINQ를 맞드는 예제.

<코드1>을 보시면, 1부터 1000까지의 숫자를 가진 배열을 생성하고, 각 수를 제곱한 수를 구하는 코드입니다. 기존의 LINQ코드와 다른 점이 있다면, 제곱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소스인 nums에 대해서 AsParallel()을 호출했다는 것입니다. <코드1>에선 AsParallel()의 리턴타입이 ParallelQuery<int>인데요, LINQ에서는 Enumerable을 사용하지만, PLINQ에서는 ParallelEnumerable을 사용합니다.

<코드1>을 보면, 정말 간단하게 병렬 프로그래밍이 구현되는데요. 정말 저렇게 간단한 방법으로 병렬 쿼리가 실행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Task.CurrentId를 통해서 실행중인 스레드의 Id를 출력하도록 했습니다. 그리고 비교적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 Thread.Sleep를 통해서 실행을 조금 여유롭게 해줬죠. 결과를 보실까요?

(생략)
3
1
4
2
3
1
4
2
3
1
4
2
3
1
4
2
3
1
4
2
3
1
4
2
3
1
4
2
3
1
4
2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1> LINQ를 맞든 결과.

3->1->4->2의 패턴이 반복되는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실행도중에 패턴은 바뀌기도 합니다만, 분명 AsParallel()메서드를 호출하는 것 만으로도 병렬 프로그래밍이 구현된 것이죠. 그런데, 출력되는 스레드의 아이디를 보면, 딱 4개만 생성된 걸 확인할 수 있는데요. 제 컴퓨터의 CPU가 쿼드코어라서 딱 4개만 생성된 것 같습니다. 그런데 왜 딱 4개만 생성된 걸까요? 이전에 TPL을 활용해서 작업할 때는 4개 이상의 스레드도 생성되어서 작업을 처리했는데 말이죠. 그건 PLINQ가 병렬 쿼리를 처리하는 방식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제가 술을 먹고 만취한 상태에서 글을 적어서 그럴까요? 아래 내용은 새빨간 거짓말 입니다!!! 낄낄낄-_-;;; 스레드가 4개만 생성된 건, PLINQ가 분할 알고리즘으로 구간 분할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리고 정확한 설명은, PLINQ는 ParallelEnumerable타입 같이 병렬 쿼리를 돌려도 안전한 타입에 대해서는 주저없이 쿼리를 병렬화 해서 작업을 하지만, IEnumerable타입 같이 병렬로 쿼리를 돌릴 때, 안전하다고 보장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순차적인 쿼리로(정확히 말하지만, 순차적인 쿼리가 아니라 Chunk 분할 알고리즘을 통해서 데이터 소스에 락을 걸고, 스레드가 한번에 작업할 덩어리를 떼어주는 형태로)작업을 하게 됩니다.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어헣-_-;;;

PLINQ는 AsParallel()메서드로 데이터 소스에 대해서 병렬처리를 원했다고 하더라도 항상 병렬적으로 처리를 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면, 작업이 너무나 간단해서, 병렬적으로 처리할 때 오히려 손해를 보는경우가 있습니다. 작업이 너무 간단하기 때문에 각 스레드가 처리하는 작업의 시간이 매우 짧고, 그래서 작업 처리에 걸리는 시간보다, 스레드 간의 작업전환에 더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것이죠. 그래서 PLINQ는 AsParallel()이 호출되면, 우선 쿼리를 분석합니다. 그리고 그 쿼리가 간단하다는 판단을 하면, 병렬적으로 처리하기 보다는 순차적으로 처리를 하게 되는 것이죠. <결과1>에서 스레드가 4개가 돌아간 것은, CPU의 코어가 4개 이기 때문에, 코어별로 스레드가 한 개씩 생성된 것입니다. 각 코어의 입장에서 보자면, 스레드가 한 개씩 있는 셈이므로 작업전환이 필요없겠죠. 참고로, 듀얼 코어인 제 노트북에서 실행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생략)
1
2
1
2
1
1
2
1
2
1
2
2
1
2
1
2
1
2
1
2
1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2> 듀얼 코어에서 맞든 LIINQ 결과.

그런가 하면, 몇 개의 스레드를 생성할 것인지 명시해 줄 수도 있는데요. <코드2>와 같이 3개의 스레드를 명시해주고 결과를 보겠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hreading.Tasks;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Exam16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s = Enumerable.Range(1, 10000).ToArray();

            Func<int, int> square = (num) =>
            {
                Console.WriteLine(Task.CurrentId);
                Thread.Sleep(10);
                return num * num;
            };

            nums = nums.AsParallel()
                .WithDegreeOfParallelism(3)               
                .Select(square)
                .ToArray();
        }
    }
}

<코드2> LINQ를 맞들 스레드의 개수를 지정하는 코드.

(생략)
1
3
2
3
1
2
1
3
2
1
3
2
1
3
2
1
3
2
3
1
2
3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3> 3개의 스레드로 맞든 LINQ 결과.

패턴은 약간 불안정할 때도 있지만, 대략 1->2->3의 순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왜 이렇게 스레드의 개수를 정해 줄 수도 있게 했을까요? 바로 최적화 때문입니다. 기본적으로 PLINQ의 알고리즘은 많은 경우를 테스트해서 최적화 알고리즘을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는 기본옵션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결과를 냅니다.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요. 그럴 때, 테스트를 통해서 적절한 스레드 개수를 지정할 수 있도록 옵션을 둔 것이죠.

위에서 쿼리 식이 단순하면, 순차적으로 실행한다고 말씀을 드렸는데요, 쿼리 식이 병렬로 실행하기에 안전하지 못한 경우에, 순차적으로 실행하다고 말씀을 드렸는데요, 그런 경우도 병렬적으로 실행을 강제할 수 있습니다. 쿼리 식에 '.WithExecutionMode(ParallelExecutionMode.ForceParallelism)'메서드를 추가하면, 기본 알고리즘과는 상관없이 무조건 병렬적으로 실행하도록 합니다. 실행시간을 테스트한다거나 할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이겠죠.


- LINQ 맞들기 취소는 어떠케?

이번에는 PLINQ 쿼리를 취소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금까지 취소에는 CancellationTokenSource를 활용했었죠? 마찬가지 입니다. 똑같이 Token을 활용해서 취소에 사용하되, 사용하는 방법이 조금씩 다른 것 뿐이지요.

using System;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hreading;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Exam17
{
    class Program
    {
        public static int[] SimpleParallelTask(int[] source,
            CancellationToken token)
        {
            Func<int, int> square = (num) =>
            {
                Console.WriteLine(Task.CurrentId);
                Thread.Sleep(10);
                return num * num;
            };
           
            return source.AsParallel()
                .WithCancellation(token)
                .WithDegreeOfParallelism(3)
                .Select(square)
                .ToArray();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ancellationTokenSource cts =
                new CancellationTokenSource();

            Console.WriteLine("끝내려면 아무키나 누르세요");

            int[] nums = Enumerable.Range(1, 10000).ToArray();

            Task task = Task.Factory.StartNew(() =>
                {
                    nums = SimpleParallelTask(nums, cts.Token);
                }, cts.Token);

            Console.Read();

            cts.Cancel();
            Console.WriteLine("-------------------------------------");

            try
            {
                task.Wait();
            }
            catch (AggregateException)
            {
                Console.WriteLine("쿼리가 중간에 취소되었습니다.");
            }
        }
    }
}

<코드3> LINQ 맞들기 취소하기.

<코드3>을 보면, AsParallel메서드의 결과로 리턴되는 ParallelQuery타입에 포함된 .WithCancellation메서드를 사용해서 PLINQ 쿼리에 CancellationToken을 넘겨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Parallel.For, Parallel.ForEach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결과도 예측할 수 있듯이 동일합니다.

(생략)
1
3
2
1
3
2
1
3
2
1
3
2
1
3
2
1
3

-------------------------------------
쿼리가 중간에 취소되었습니다.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4> LINQ 맞들기를 취소한 결과.


- 마치면서

어떠셨나요?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 속담이 PLINQ에서는 항상 참이 아니라는 게 말이죠. 이래서 병렬 프로그래밍이 어려운가 봅니다. 어허허허헣. 악플 사절(죽을때 까지 미워할거임)! 피드백 환영! 호호호호^^


- 참고자료

1. Essential C# 4.0, Mark Michaelis, Addison Wesley

Welcome to Parallel C#(8) - 취소 쉽게 하기.

C# Parallel Programming 2010. 6. 17. 09:0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취소는 어렵지.

약속은 하는 것 보다, 취소하는 게 어렵습니다. 게다가 취소할 때는 적절한 타이밍을 놓치면, 안 좋은 기억만 남기게 되죠. 그래서 프로그램에서도 취소를 제대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 중요합니다. 누구나 실수 할 수 있거든요.


- TPL과 함께 취소 좀 더 쉽게하기. 어헣.

TPL은 두가지 형태의 병렬성을 지원합니다. 첫 번째는 작업 병렬성(Task Parallel)이고, 두 번째는 데이터 병렬성(Data Parallelism)입니다. 작업 병렬성은 하나 이상의 작업이 동시에 진행되는 것을 말하구요, 데이터 병렬성은 연속적인 데이터에 대해서 동일한 작업이 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말합니다. 기존까지 Task클래스와 관련해서 살펴봤던게 작업 병렬성을 위한 것이었다면, 이번에는 데이터 병렬성을 지원하는 부분을 살펴보겠습니다.

데이터 병렬성을 매우 손쉽게 지원하기 위해서 System.Threading.Tasks.Parallel클래스에 병렬성을 지원하는 for와 foreach를 추가했습니다. Parallel.For와 Parallel.ForEach가 바로 그 것인데요.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Exam13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s = Enumerable.Range(1, 1000).ToArray<int>();
            Parallel.For(0, 1000, (i) =>
            {
                nums[i] = nums[i] * nums[i];
            });

            for (int i = 0; i < 10; i++)
            {
                Console.WriteLine(nums[i].ToString());               
            }
        }
    }
}

<코드1> 간단한 병렬 예제.

<코드1>을 보면, 1부터 1000까지의 정수 배열을 만든 뒤에, 각각의 수를 제곱하는 코드입니다. i번째의 숫자를 제곱해서 그 결과를 i번째 인덱스에 넣는 작업과, i+1번째의 숫자를 제곱해서 그 결과를 i+1번째 인덱스에 넣는 작업은 별개의 작업이며, 동시에 수행가능한 작업이죠. 저렇게 for와 거의 비슷한 모양으로 작성하고, for대신에 Parallel.For를 써주는 것 만으로도 남아도는 CPU의 코어를 활용할 수 있다니. 간편하죠?

Parallel.ForEach와 병렬 루프에서 예외를 처리하는 부분은 이미 다룬 부분이기 때문에 건너뛰구영. 바로, 병렬 루프를 취소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트에서 작업을 취소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었는데요. 이번에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동일하게 CancellationTokenSource와 CancellationToken클래스를 활용합니다. 다만, 방법이 약간 다른데요, 예제를 보시죠.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IO;
using System.Threading.Tasks;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Exam14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ancellationTokenSource cts =
                new CancellationTokenSource();
            ParallelOptions parallelOptions =
                new ParallelOptions
                {
                    CancellationToken = cts.Token
                };
            cts.Token.Register(
                () => Console.WriteLine("Cancelling....")
            );

            Console.WriteLine("끝내려면 엔터키를 누르세용.");

            IEnumerable<string> files =
                Directory.GetFiles("C:\\음악", "*", SearchOption.AllDirectories);
            List<string> fileList = new List<string>();

            Console.WriteLine("파일 개수 : {0}", files.Count());

            Task task = Task.Factory.StartNew(() =>
                {
                    try
                 {
                        Parallel.ForEach(files, parallelOptions,
                        (file) =>
                        {
                            FileInfo fileInfo = new FileInfo(file);
                            if (fileInfo.Exists)
                            {
                                if (fileInfo.Length >= 10000000)
                                {
                                    fileList.Add(fileInfo.Name);
                                }
                            }
                        });
                 }
                 catch (OperationCanceledException)
                 {
                 }
                });

            Console.Read();

            cts.Cancel();
            task.Wait();
           
            foreach (var file in fileList)
            {
                Console.WriteLine(file);
            }
            Console.WriteLine("총 파일 개수 : {0}",fileList.Count());
        }
    }
}

<코드2> 병렬 루프에서의 작업 취소.

<코드2>를 보면, Parallel.ForEach이용해서, 음악 파일 중에서 10메가가 넘는 파일만 찾아서 리스트에 담고 있습니다. 그리고 루프 취소와 모니터링을 위해서 CancellationTokenSource, CancellationToken클래스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다른점이 있다면, 병렬 루프에 옵션을 주기 위해서 ParallelOptions클래스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죠. 그리고 생성된 ParallelOptions타입의 객체에 Token을 주고, 그 객체를 Parallel.ForEach루프에 매개변수로 넘겨주고 있습니다. 결과를 보면, 늦게 취소를 한 경우에는 리스트가 모두 완성된 반면에, 빨리 취소를 한 경우에는 리스트가 만들어지다가 만 걸 확인할 수 있죠.

끝내려면 엔터키를 누르세용.
파일 개수 : 2746

Cancelling....

(중략...)

05 サンクチュアリ.mp3
06 空のように 海のように.mp3
07 月の虹.mp3
총 파일 개수 : 380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1> 늦게 취소해서 다 완성된 리스트.

끝내려면 엔터키를 누르세용.
파일 개수 : 2746

Cancelling....

(중략...)

01.mp3
02.mp3
03.mp3
01.うるわしきひと.mp3
총 파일 개수 : 256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2> 중간에 취소해서 만들어지다 만 리스트.

ParallelOptions를 통해서 CancellationToken을 받은 병렬 루프는 내부적으로, IsCancellationRequested속성을 계속해서 주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취소 요청이 들어와서 이 속성이 true가 되면, 그 이후로는 새로운 루프가 시작되는 걸 막아버리는 것이죠. 그리고 병렬 루프가 취소되었음을 외부에 알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OperationCanceledException을 통해서 인데요. <코드2>를 보면, catch를 통해서 예외를 잡긴하지만, 무시해버렸습니다. 그래서 Register메서드를 통해서 등록된 "Cancelling...."이라는 메세지가 출력되고 프로그램이 종료된 것이죠.


- 마치면서

역시 병렬처리를 간단하게 만들어 주는 만큼, 병렬처리를 취소하는 방법도 최대한 간단하게 만들어 주네요. TPL만쉐이! 어헣.


- 참고자료

1. Essential C# 4.0, Mark Michaelis, Addison Wesley
2.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dd537608.aspx
3.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dd537609.aspx

Welcome to Parallel C#(7) - Excuse me.

C# Parallel Programming 2010. 6. 14. 09:0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뭐, 미안하다고?

선진국에 가보면, 약간만 부딛힐 듯한 상황이라면, 서로 'Excuse me', '스미마셍'같이 서로를 배려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길을 걸으면서 뒷 사람에게 담배연기를 선사한다던가, 뭐 그리 급한지 보행자일 때는 운전자를, 운전할 때는 보행자를 씹으면서 급하게 서두르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층간소음이 일어나면 오히려 윗집이 더 큰소리를 치기도 하죠. 시민의식으로 겨루는 한일전에서도 완승을 거뒀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만, 저 역시 모범시민은 아니기에 같이 노력해야겠죠. 어허허허헣. 오늘은 닷넷이 예절을 얼마나 잘 지키는 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 Stop it, Now!

위 소제목을 보시고, 잭 바우어를 떠올렸다면, 24시의 팬이시겠군요. 잭 바우어는 너무나도 급한 상황을 많이 만나는데요, 상대방에게는 정말 미안하지만,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 윽박지르고, 때로는 때리고, 아주 때로는 다리를 쏘는 등등등! 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아흙. 닷넷의 멀티 스레드 환경을 한번 생각해보죠. 여러개의 스레드가 작업을 처리하는 동안, 하나의 스레드는 사용자의 UI에서 입력을 기다립니다. 그리고 사용자가 취소버튼을 누르면, 사용자의 의지를 이어받아서 다른 스레드들을 취소해야 하는데요. 기존의 .NET 3.5까지는 작업 중인 스레드를 취소하는 게 매우 무례했습니다. 취소해야 할 때는 기냥 바로 끼어들어서 취소해버렸기 때문이죠. 그렇게 하면, 데이터 업데이트가 이뤄지는 도중에 취소되어서 부분적으로만 데이터가 업데이트 된다든지, 자원해제가 제대로 안 된다든지 하는 부작용의 위험이 항상 존재합니다. 그래서 가능하면, 다른 방법이 전혀 없을 때, 이렇게 하는 것이 좋겠죠?

물론 기존의 방식도 여전히 활용가능하지만, 이젠 닷넷이 많이 예의를 갖췄습니다. 닷넷 4.0에 새롭게 추가된 PLINQ나 TPL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취소 요청 접근법(cancellation request approach)만 사용할 수 있는데요, 이런 방식을 협력적인 취소(cooperative cancellation)이라고 합니다. 즉, 한 스레드가 다른 스레드를 강제로 종료시키는 게 아니라, 작업 취소 API를 통해서 작업을 취소해줄 것을 요청하는 것이죠. 취소 플래그를 통해서 취소요청을 받은 작업은 취소요청에 어떻게 응답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예제를 하나 보시죠.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Tasks;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Exam1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PrintDash(CancellationToken cancellationToken)
        {
            cancellationToken.Register(Canceled);

            while (!cancellationToken.IsCancellationRequested)
            {
                Console.Write("-");
            }
        }

        static void Canceled()
        {
            Console.WriteLine("작업이 취소되었군요!!");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tars = "*".PadRight(Console.WindowWidth - 1, '*');

            CancellationTokenSource cancellationTokenSource =
                new CancellationTokenSource();

            Task task = Task.Factory.StartNew(
                () => PrintDash(cancellationTokenSource.Token));
           
            Console.ReadLine();

            cancellationTokenSource.Cancel();
            Console.WriteLine(stars);
            task.Wait();
            Console.WriteLine("작업의 완료상태 : {0}", task.Status);
            Console.WriteLine();
        }
    }
}

<코드1> 취소 요청 접근법.

<코드1>은 그냥 평범하게 '-'를 출력하는 예제입니다. 하지만, 새로운 클래스가 몇개 보이는데요. CancellationTokenSource, CancellationToken클래스말이죠.

namespace System.Threading
{
    [ComVisible(false)]
    [DebuggerDisplay("IsCancellationRequested = {IsCancellationRequested}")]
    public struct CancellationToken
    {
        public CancellationToken(bool canceled);
       
        public static bool operator !=(CancellationToken left, CancellationToken right);

        public static bool operator ==(CancellationToken left, CancellationToken right);

        public bool CanBeCanceled { get; }

        public bool IsCancellationRequested { get; }

        public static CancellationToken None { get; }

        public WaitHandle WaitHandle { get; }

        public bool Equals(CancellationToken other);

        public override bool Equals(object other);

        public override int GetHashCode();

        public CancellationTokenRegistration Register(Action callback);

        public CancellationTokenRegistration Register(Action<object> callback, object state);

        public CancellationTokenRegistration Register(Action callback, bool useSynchronizationContext);

        public CancellationTokenRegistration Register(Action<object> callback, object state, bool useSynchronizationContext);

        public void ThrowIfCancellationRequested();
    }
}

<코드2> 구조체 CancellationToken.

CancellationToken클래스는 말 그대로, 현재 이 토큰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 모니터링 하기 위한 정보를 갖고 있습니다. 이 토큰이 현재 취소 요청을 받았는지, 취소요청을 받으면 어떤 행동을 취할 것인지 등을 확인하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

namespace System.Threading
{
    [ComVisible(false)]
    public sealed class CancellationTokenSource : IDisposable
    {
        public CancellationTokenSource();

        public bool IsCancellationRequested { get; }

        public CancellationToken Token { get; }

        public void Cancel();

        public void Cancel(bool throwOnFirstException);

        public static CancellationTokenSource CreateLinkedTokenSource(params CancellationToken[] tokens);

        public static CancellationTokenSource CreateLinkedTokenSource(CancellationToken token1, CancellationToken token2);

        public void Dispose();
    }
}

<코드3> CancellationTokenSource 클래스

그리고 CancellationTokenSource는 CancellationToken의 기반이 되는 클래스로(Source라는 이름이 붙어있죠), CancellationTokenSource에서 생성된 각각의 Token에 대해서 취소를 요청하는 역할을 합니다. CancellationTokenSource에서 Cancel메서드로 취소요청을 하면, 같은CancellationTokenSource에서 생성된 Token들은 전부 취소요청을 받는 셈이죠.


한가지 주목해서 보실 점은 CancellationToken가 클래스가 아니라 구조체라는 것입니다. 즉, Token을 매번 다른 객체에 넘겨줄 때마다 새로운 복사본이 생성된다는 것이죠. 그래서 각각의 스레드에 넘겨진 Token은 각각 독립적인 복사본 이므로, Cancel메서드는 스레드 안전성(thread-safe)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참조가 그냥 복사된다면, 각각의 스레드가 Token에 손을 대면, 다른 스레드가 참조하는 Token에도 동일한 변화가 생겨서 예측불가능한 일이 벌어지겠죠.

<코드1>을 보면, 병렬적으로 수행되는 작업에서 취소 요청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CancellationToken을 인자로 넘겨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PrintDash메서드 내부에서 IsCancellationRequested속성을 통해서 작업 취소 요청이 들어왔는지 계속 해서 확인하게 되죠. 그럼 <코드1>을 실행 해볼까요?

--------------------------------------------------------------------------------------------------------------------------------------------------------------------------------------------------------------------------------------------------------------------------------------------------------------------------------------------------------------------------------------------------------------------------------------------------------------------------
--작업이 취소되었군요!!
*******************************************************************************
작업의 완료상태 : RanToCompletion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1> <코드1>의 실행결과.

<결과1>을 보면, 작업의 완료상태를 출력하는 부분이 있는데요, 이 부분에서 RanToCompletion이 출력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만약, ContinueWith메서드로 연쇄 작업을 연결하고, 옵션을 OnlyOnCanceled로 설정해준다고 하더라도, 연쇄작업은 실행되지 않습니다. 작업은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연쇄 작업이 취소되었다는 에러메세지만 확인할 수 있을 뿐이죠. 그렇다면, 연쇄작업을 이용해서 <코드1>과 동일한 결과를 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Tasks;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Exam12
{
    class Program
    {
        static void PrintDash(CancellationToken cancellationToken)
        {
            while (!cancellationToken.IsCancellationRequested)
            {
                Console.Write("-");
            }

            if (cancellationToken.IsCancellationRequested)
            {
                cancellationToken.ThrowIfCancellationRequested();
            }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tars = "*".PadRight(Console.WindowWidth - 1, '*');

            CancellationTokenSource cancellationTokenSource =
                new CancellationTokenSource();

            Task task = Task.Factory.StartNew(
                () => PrintDash(cancellationTokenSource.Token),
                cancellationTokenSource.Token);

            Task canceledTask = task.ContinueWith(
                (antecedentTask) => Console.WriteLine("작업이 취소되었군요!!"),
                TaskContinuationOptions.OnlyOnCanceled);

            Console.ReadLine();

            cancellationTokenSource.Cancel();
            Console.WriteLine(stars);
            canceledTask.Wait();
            Console.WriteLine("작업의 완료상태 : {0}", task.Status);
            Console.WriteLine();
        }
    }
}

<코드4> <코드1>과 동일하지만, 연쇄작업을 사용하는 코드.

<코드4>가 바로, <코드1>과 동일한 결과를 내는 코드입니다.(사실 완전히 같지는 않습니다. 실행해보면, '작업이 취소되었군요!'라는 멘트가 출력되는 위치가 다르지요.) 이런식으로 연쇄작업을 연결해놓고, 병렬로 실행되는 메서드 안에서, ThrowIfCancellationRequested()메서드를 통해서, 취소되었을 때, 취소되었다는 표시를 하도록 한 것이죠. 그러면, 연쇄 작업이 바톤을 이어받아서 실행을 계속하게 됩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차이점은 작업을 생성할 때, 인자로 Token을 넘겨준다는 것이지요.


- 마치면서.

요즘 월드컵을 보면 16강이 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요. 꼭! 갔으면 좋겠네요!! ......이게 마무리 멘트라니-_-!! 어헣.


- 참고자료

1. Essential C# 4.0, Mark Michaelis, Addison Wesley

Welcome to Parallel C#(6) - To be continue...

C# Parallel Programming 2010. 6. 10. 09:0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To be continue??

한 때, 뮤직비디오를 드라마 처럼 만드는 게 유행했던 때가 있었습니다. 기억하시나요? 한창 조성모가 데뷔했을 때로 기억하는데요. 노래 한곡에 뮤직비디오가 여러편이 있어서, 하나가 공개 되고 나면, 'To be continue..'라는 자막이 나오면서 애간장을 태우곤 했었죠. 그게 오늘 내용과 무슨 상관이냐!?!? 별 상관없습니다-_- 어허허헣.


- 뒤를 부탁해, ContinueWith

지금까지는 작업을 만들어서 돌리고, 작업이 종료되면 그냥 끝났었는데요. 한 작업이 어떤 상태로 끝났을 때, 그 상태에 따라서 다른 작업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도록 설정하고 싶은 경우가 있겠죠. Task클래스에는 그런 경우를 위해서 ContinueWith라는 메서드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낄낄낄. 이 메서드는 선행 작업(antecedent task)에 하나 이상의 연쇄적인 작업을 연결 시켜놓고, 선행 작업의 상태나 종료에 따라서 연쇄적으로 이후 작업이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그러면, 선행 작업의 상태에 대해서 설정가능한 상태가 뭐가 있는지 한번 확인해볼까요?

 상태  설명 
 None  아무 값도 명시되지 않으면 사용되는 기본 값으로, 선행작업의 상태와 관계없이, 선행작업이 종료되면 바로 시작된다.
 NotOnRanToCompletion  선행작업이 끝난 상태에서는 연쇄작업을 실행계획에 넣지 않는다.
 NotOnFaulted  선행작업이 처리안된 예외를 던지면, 연쇄작업을 실행계획에 넣지 않는다.
 NotOnCanceled  선행작업이 취소되면, 연쇄작업을 실행계획에 넣지 않는다.
 OnlyOnRanToCompletion  선행작업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상태에서만 연쇄작업을 실행계획에 추가시킨다.
 OnlyOnFaulted  선행작업이 처리안된 예외를 던지는 상태에서만 연쇄작업을 실행계획에 추가시킨다.
 OnlyOnCanceled  선행작업이 취소된 상태에서만 연쇄작업을 실행계획에 추가시킨다.
<표1>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system.threading.tasks.taskcontinuationoptions.aspx에서 참조한 상태값과 설명

그리고 ContinueWith메서드는 Task타입의 객체를 리턴하는 데요, 그 덕분에 연쇄적으로 작업에 작업을 계속해서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예제를 한번 확인해볼까요?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Exam9
{
    class Program
    {
        static string Calc(object from)
        {
            long sum = 0;
            long start = (long)from;
            Console.WriteLine("현재 이 메서드를 실행중인 스레드 ID : {0}",
                Task.CurrentId);

            for (long i = start; i < 100000000; i++)
            {
                sum += i;
                if(i == 100000 || i == 200000)
                {
                    //100000에 이르면, 그냥 실행을 종료시킨다.
                    throw new ApplicationException("그냥 에러가 났음");
                }
            }
            Console.WriteLine("계산 끝");
            return sum.ToString();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ask<string> task = new Task<string>(
                Calc, 1L);

            task.Start();

            Task<string> justDoIt = task.ContinueWith<string>(
                (antecedentTask) =>
                {
                    Console.WriteLine("이전 작업 상태 : {0}", antecedentTask.Status);
                    return Calc(100001L);
                },
                TaskContinuationOptions.None);

            Task<string> justDoIt2 = justDoIt.ContinueWith<string>(
                (antecedentTask) =>
                {
                    Console.WriteLine("이전 작업 상태 : {0}", antecedentTask.Status);
                    return Calc(200001L);
                },
                TaskContinuationOptions.None);

            try
            {
                Console.WriteLine(task.Result);
            }
            catch (AggregateException ex)
            {
                foreach (var item in ex.InnerExceptions)
                {
                    Console.WriteLine("에러 : {0}", item.Message);
                }
            }
            finally
            {
                try
                {
                    Console.WriteLine(justDoIt.Result);
                }
                catch (AggregateException ex)
                {
                    foreach (var item in ex.InnerExceptions)
                    {
                        Console.WriteLine("에러 : {0}", item.Message);
                    }
                }
                finally
                {
                    Console.WriteLine(justDoIt2.Result);
                    Console.WriteLine("끝");
                }
            }
        }
    }
}

<코드1> 연쇄작업 물리기.

<코드1>은 Calc메서드를 실행하는 작업을 하나 시작하고, 그 작업에 연쇄작업을 하나 연결하고, 그 연쇄작업에 또 연쇄작업을 하나 연결한 예제입니다. 연쇄작업의 옵션을 보면, 전부 'TaskContinuationOptions.None'로 되어 있는데요. <표1>에서 확인해보면, 선행작업이 어떤 식으로 종료되든, 종료가 되면 이어서 실행하도록 하는 옵션이죠. 그리고 Calc메서드를 보면, for루프의 카운트가 100000과 200000에 이르면, 예외를 던지고 실행을 종료하도록 했습니다. 그리고 작업을 보면, task는 1부터, justDoIt은 100001부터 실행하므로 둘다 예외를 만나겠죠. 그리고 마지막 justDoIt2는 200001부터 실행하므로 실행을 종요하게 됩니다. 그럼 결과를 보죠.(설명을 위한 예제이므로 실제로 이렇게 짜면 곤란하겠죠)

현재 이 메서드를 실행중인 스레드 ID : 1
이전 작업 상태 : Faulted
현재 이 메서드를 실행중인 스레드 ID : 2
이전 작업 상태 : Faulted
현재 이 메서드를 실행중인 스레드 ID : 3
에러 : 그냥 에러가 났음
에러 : 그냥 에러가 났음
계산 끝
4999979949900000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1> 연쇄작업 실행 결과.

우리가 예측한대로, 선행작업이 실패하면서, 바로 다음작업이 연쇄적으로 실행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난 포스트에서 Wait메서드를 통해서 추가적으로 생성된 스레드의 결과를 기다리거나, Result속성을 통해서 결과값을 요청하지 않으면 추가스레드의 결과는 그냥 무시된다고 했었는데요. 연쇄작업도 마찬가지 입니다. 연쇄작업을 연결해 놓았다고 해도, Wait로 기다리거나 Result를 요구하지 않으면 그냥 무시되어 버리는 것이죠. <코드1>에서 justDoIt2.Result부분을 아래 처럼 주석처리하고 실행해보죠.

finally
{
    //Console.WriteLine(justDoIt2.Result);
    Console.WriteLine("끝");
}
<코드2> 주석 처리.

그리고 결과는 보면,

현재 이 메서드를 실행중인 스레드 ID : 1
이전 작업 상태 : Faulted
현재 이 메서드를 실행중인 스레드 ID : 2
이전 작업 상태 : Faulted
현재 이 메서드를 실행중인 스레드 ID : 3
에러 : 그냥 에러가 났음
에러 : 그냥 에러가 났음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2> 작업이 무시된 결과

justDoIt2가 진행하던 작업의 결과는 무시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표1>에서 None옵션은 선행작업이 어떤 이유로 종료가 되었든, 종료가 되었다면 바로 이어서 연쇄작업을 실행하도록 하는 옵션인데요. 그러면, <코드1>과 동일한 결과를 가져오려면 어떤 옵션을 사용하면 되는 걸까요? 한번 생각해보시죠. 어헣. 힌트는 예외를 던지고 종료되는 작업의 상태를 보시면 바로 정답이 나옵니당. 정답은 <코드3>을 보시죠!

Task<string> justDoIt = task.ContinueWith<string>(
    (antecedentTask) =>
    {
        Console.WriteLine("이전 작업 상태 : {0}", antecedentTask.Status);
        return Calc(100001L);
    },
    TaskContinuationOptions.OnlyOnFaulted);

Task<string> justDoIt2 = justDoIt.ContinueWith<string>(
    (antecedentTask) =>
    {
        Console.WriteLine("이전 작업 상태 : {0}", antecedentTask.Status);
        return Calc(200001L);
    },
    TaskContinuationOptions.OnlyOnFaulted);

<코드3> 같은 결과를 가져오는 코드

그렇씁니다. OnlyOnFaulted는 선행작업이 처리안된 예외를 던지는 상태에서만 연쇄작업을 실행시키는 옵션이죠. 어허허허헣.

그렇다면, 작업의 성공이나 실패를 자동으로 통지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Exam10
{
    class Program
    {
        static string Calc(object from)
        {
            long sum = 0;
            long start = (long)from;
            Console.WriteLine("현재 이 메서드를 실행중인 스레드 ID : {0}",
                Task.CurrentId);

            for (long i = start; i < 100000000; i++)
            {
                sum += i;
                if (i == 100000)
                {
                    //100000에 이르면, 그냥 실행을 종료시킨다.
                    throw new ApplicationException("그냥 에러가 났음");
                }
            }
            Console.WriteLine("계산 끝");
            return sum.ToString();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ask<string> task = new Task<string>(
                Calc, 1L);

            task.Start();

            Task completedTask = task.ContinueWith(
                (antecedentTask) =>
                {
                    Console.WriteLine("Task State: 무사 완료!!");
                    //작업 완료 후에 이어서 뭔가를 처리
                },
                TaskContinuationOptions.OnlyOnRanToCompletion);

            Task faultedTask = task.ContinueWith(
                (antecedentTask) =>
                {
                    Console.WriteLine("Task State: 처리되지 않은 예외 발견!!");
                },
                TaskContinuationOptions.OnlyOnFaulted);

            try
            {
                completedTask.Wait();
                faultedTask.Wait();
            }
            catch (AggregateException ex)
            {
                foreach (var item in ex.InnerExceptions)
                {
                    Console.WriteLine("에러 : {0}", item.Message);
                }
            }
        }
    }
}

<코드4> 연쇄 작업으로 상태를 감지

<코드4>를 보시면, 작업이 무사히 끝났을 때와 처리안된 예외가 생겨서 종료될 때에 실행되도록 연쇄작업을 두개 연결해 놓았습니다. 일단 결과를 보면요,

현재 이 메서드를 실행중인 스레드 ID : 1
Task State: 처리되지 않은 예외 발견!!
에러 : 작업이 취소되었습니다.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3>

예상대로, OnlyOnFaulted로 설정된 연쇄작업이 실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왜냐면 작업을 1부터 시작하도록 했기 때문에, 카운트가 100000에 다다르면, 처리안된 예외가 발생하기 때문이죠. 작업의 상태값을 100001L이상으로 설정하면, OnlyOnRanToCompletion으로 설정된 연쇄작업이 실행되겠죠.

그런데, 두 경우다 예외가 하나씩 잡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작업이 취소되었습니다'라는 예외인데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task에 OnlyOnRanToCompletion와 OnlyOnFaulted인 연쇄작업 두개를 연결했기 때문에, 둘 중 하나만 항상 실행이 됩니다. 그래서 둘 중에 하나는 실행이 되지 못한채, 선행작업이 끝나버리는 거죠. 그래서 Wait메서드를 통해서 기다리고 있던 작업은 종료되지 못하고 취소가 되는 마는 것이죠.


- 마무리

오늘은 선행작업의 상태에 따라서 연쇄적으로 작업을 실행하는 예제를 살펴봤습니다. 다음에 뵙쬬!


- 참고자료

1. Essential C# 4.0, Mark Michaelis, Addison Wesley

- 인생이 원하는 대로 가지는 않더라.

우리는 인생을 살면서, 여러가지 계획을 세웁니다. 하지만, 보통 계획을 세울 때, 예외적인 상황을 감안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늘 일정은 실패로 끝나게 되고, '아, 난 안되나 보다.'하고 절망하게 되는 것이죠. 자세한 내용은 최인철 교수님의 '프레임'을 참고하시면..... 순간 책 소개 코너로 빠져들뻔 했군요. 어헣.

아무튼, 우리는 인생에서 뿐만 아니라 프로그래밍에서도 생각외의 순간을 많이 만나게 됩니다. '도대체 어떤 **가 이런 거 까지 해볼까?'하는 생각으로 안이하게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기상 천외한 버그 리포트를 받게 됩니다. 그래서 예외 처리가 중요한 것이죠. 오늘은 병렬 프로그래밍에서 예외 처리 하는 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 차이점 하나.

기존의 프로그래밍에서는 그저 예외를 발생시 처리하고 싶은 구문을 try로 감싸면 되었는데요. 병렬 프로그래밍에서는 어떨까요? Task.Start()를 try로 감싸면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요? 한번 실험해보죠.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Exam5
{
    class Program
    {
        static string Calc(object from)
        {
            long sum = 0;
            long start = (long)from;
            Console.WriteLine("현재 이 메서드를 실행중인 스레드 ID : {0}",
                Task.CurrentId);

            for (long i = start; i < 100000000; i++)
            {
                sum += i;
                if (i == 100000)
                {
                    //100000에 이르면, 그냥 예외를 던진다ㅋ.
                    throw new ApplicationException("그냥 에러가 났음");
                }
            }
            Console.WriteLine("계산 끝");
            return sum.ToString();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ask<string> task = new Task<string>(
                Calc, 1L);

            try
            {
                task.Start();
            }
            catch (AggregateException ex)
            {
                foreach (var item in ex.InnerExceptions)
                {
                    Console.WriteLine("에러 : {0}", item.Message);
                }
            }

            Console.WriteLine(task.Result);
        }
    }
}

<코드1> Start를 try로 감싸기

<코드1>을 보시면, task.Start()를 try로 감싸고 있습니다. 과연 실행중에 던지는 예외를 잘 받을 수 있을까요?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현재 이 메서드를 실행중인 스레드 ID : 1

처리되지 않은 예외: System.AggregateException: 하나 이상의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 System.ApplicationException: 그냥 에러가 났음
   위치: Exam5.Program.Calc(Object from) 파일 C:\Users\boram\Documents\Visual St
udio 10\Projects\Chapter9\Exam7\Program.cs:줄 21
   위치: System.Threading.Tasks.Task`1.InvokeFuture(Object futureAsObj)
   위치: System.Threading.Tasks.Task.InnerInvoke()
   위치: System.Threading.Tasks.Task.Execute()
   --- 내부 예외 스택 추적의 끝 ---
   위치: System.Threading.Tasks.Task.ThrowIfExceptional(Boolean includeTaskCance
ledExceptions)
   위치: System.Threading.Tasks.Task.Wait(Int32 millisecondsTimeout, Cancellatio
nToken cancellationToken)
   위치: System.Threading.Tasks.Task`1.get_Result()
   위치: Exam5.Program.Main(String[] args) 파일 C:\Users\boram\Documents\Visual
Studio 10\Projects\Chapter9\Exam7\Program.cs:줄 45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1> <코드1>의 실행 결과

<결과1>을 보면, 예외는 전혀 잡히지 않았습니다. 왜 일까요? 작업에서 실행하는 코드(여기서는 Calc메서드)는 Start메서드 내에서 실행되는 게 아니라, Start메서드로 작업이 시작된 이후에야 별도로 시작되기 때문이죠. 그래서 Start메서드에 try를 걸어봤자 예외는 잡을 수 없습니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작업 안에서 처리되는 예외(즉, Calc메서드 내에서 발생하고 처리되는 예외)는 전혀 고민할 필요가 없겠죠. 하지만, 처리되지 못한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는 바깥에서 처리할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CLR 2.0 버전까지는 이런 처리되지 못한 예외가 발생하면, 예외가 버블링되면서, 상위 계층으로 전파되면서 결국에는 윈도우 에러 보고 대화상자를 열게 만들고, 프로그램은 종료되었습니다. 하지만, 작업 내부에서 처리되지 못한 예외라고 하더라도, 작업 바깥에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것 보다는 바깥에서 처리할 수 있게 하는 게 더 나은 방법이겠죠.

작업내부에서 처리 안된 예외(unhandled exception)가 발생했다면, 그 예외는 일단 작업을 마무리 짓는 멤버(Wait(), Result, Task.WaitAll(), Task.WaitAny())가 호출되기 전까지는 조용히 기다립니다. 그리고 마무리 멤버의 호출에서 처리 안된 예외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죠. <코드1>에서 Start메서드를 try블록으로 감쌌지만, 예외를 잡을 수 없었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처리 안된 예외는 마무리 멤버와 함께 발생하기 때문이죠. 그러면, <코드1>을 수정해서, 예외를 제대로 잡도록 수정해보겠습니다.

task.Start();

try
{
    Console.WriteLine(task.Result);
}

catch (AggregateException ex)
{
    foreach (var item in ex.InnerExceptions)
    {
        Console.WriteLine("에러 : {0}", item.Message);
    }
}

<코드2> Result를 try로 감싸라.

<코드2>를 보면, 작업을 마무리 짓는 멤버 중의 하나인, Result를 try블록으로 감싸고 있습니다. 그리고 결과를 보면,

현재 이 메서드를 실행중인 스레드 ID : 1
에러 : 그냥 에러가 났음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2> 제대로 처리된 예외.

예외가 제대로 처리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차이점 둘.

혹시 <코드1>, <코드2>를 주의 깊게 보신 분이라면, 처음보는 예외 하나를 발견하셨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바로 AggregateException인데요, 이에 대해서 이야기를 좀 해보겠습니다.

AggregateException은 닷넷 프레임워크 4.0에서 처음 추가된 예외 타입인데요, MSDN의 설명을 보면(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system.aggregateexception.aspx),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에러를 표현하는 수단'이며, 주로 TPL과 PLINQ에서 활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aggregate는 여러 개의 작은 것들을 서로 합치는 이미지를 갖고 있는데요, AggregateException은 그렇다면 여러 개의 예외를 하나로 합치는 예외타입이라는 말이 됩니다. 그런데, 여러 개의 예외는 어디서 오는 걸까요? 예전에 작성했던 예제를 조금 수정해서 확인 해보도록 하죠.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IO;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Exam7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Enumerable<string> files =
                Directory.GetFiles("C:\\음악", "*", SearchOption.AllDirectories);
            List<string> fileList = new List<string>();

            Console.WriteLine("파일 개수 : {0}", files.Count());
           
            Parallel.ForEach(files, (file) =>
            {
                FileInfo fileInfo = new FileInfo(file);
                if (fileInfo.Exists)
                {
                    if (fileInfo.Length >= 15000000)
                    {
                        throw new ApplicationException("15메가 넘는 파일이!!");
                    }
                    else if (fileInfo.Length >= 1000000)
                    {
                        fileList.Add(fileInfo.Name);
                    }
                    Console.Write("{0}", Task.CurrentId.ToString());                   
                }
            });
        }
    }
}

<코드3> 약간 수정된 예제.

<코드3>이 바로 그 예제인데요, 예제를 보면, 음악 폴더에서 15메가 넘는 파일이 발견되면, 예외를 발생하도록 되어있습니다. flac같은 파일로 보자면, 15메가 넘는 파일은 흔히 있겠지만, 저는 서민이라 mp3를 선호합니다. 어헣-_-. 아무튼, 이 예제를 실행 시켜보면요, 간혹 15메가 넘는 파일이 몇개는 있기 마련이기 때문에, 실행 중에 에러가 나게 되어 있습니다. 한번 디버깅을 해보죠.


<그림1> 병렬 스택 창

<그림1>의 병렬 스택을 보시면요, 병렬 ForEach문에 의해서 4개의 작업자 스레드가 생성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리스트의 크기나, CPU자원 상태등에 따라서 개수는 계속해서 변합니다.)

<그림2> 병렬 작업 창

그리고 <그림2>의 병렬 작업창을 보면, 2번 스레드가 15메가 넘는 파일을 만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2번 스레드가 예외를 던질텐데, 나머지 작업은 어떻게 될까요? 처리 되지 않은 예외가 발생하는 순간, 다른 작업들은 모두 날아가버립니다.

그런데, 각 스레드 별로 파일 리스트를 쪼개서 줬을 텐데요. 각 스레드가 각자의 목록을 가지고 작업을 하다보면, 각 스레드 별로 15메가가 넘는 파일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이런 예외들을 만날 때 마다 처리하지 말고, 모두 모아서 한번에 처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래서 바로 AggregateException을 사용하는 거죠.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IO;
using System.Threading.Tasks;
using System.Collections.Concurrent;

namespace Exam8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Enumerable<string> files =
                Directory.GetFiles("C:\\음악", "*", SearchOption.AllDirectories);
            List<string> fileList = new List<string>();

            Console.WriteLine("파일 개수 : {0}", files.Count());

            var exceptions = new ConcurrentQueue<Exception>();

            try
            {
                Parallel.ForEach(files, (file) =>
                {
                    FileInfo fileInfo = new FileInfo(file);
                    if (fileInfo.Exists)
                    {
                        try
                        {
                            if (fileInfo.Length >= 15000000)
                            {
                                throw new ApplicationException("15메가 넘는 파일이!!");
                            }
                            else if (fileInfo.Length >= 1000000)
                            {
                                fileList.Add(fileInfo.Name);
                            }
                            Console.Write("{0}", Task.CurrentId.ToString());
                        }
                        catch (Exception ex)
                        {
                            exceptions.Enqueue(ex);
                        }
                    }
                });

                throw new AggregateException(exceptions);
            }
            catch (AggregateException ex)
            {
                foreach (var item in ex.InnerExceptions)
                {
                    Console.WriteLine("\n에러 : {0}", item.Message);
                }

                Console.Write("\n파일 리스트 계속해서 보기(엔터키를 치세요)");
                Console.ReadLine();
            }
            finally
            {
                foreach (string file in fileList)
                {
                    Console.WriteLine(file);
                }

                Console.WriteLine("총 파일 개수 : {0}", fileList.Count());
            }
        }
    }
}

<코드4> AggregateException을 사용.

ConcurrentQueue는 Queue긴 하지만, 여러 스레드에 의해서 동시에 큐에 추가를 하거나 해도 안전하도록 만들어진(thread-safe) Queue입니다. 그 큐에서 예외가 발생할 때마다, 예외를 저장해뒀다가, 한꺼번에 AggregateException으로 던지는 것이죠. 그리고 바깥쪽의 catch블록에서 예외를 받아서 내부의 예외 목록을 하나씩 처리하는 것입니다.

(생략)
에러 : 15메가 넘는 파일이!!

에러 : 15메가 넘는 파일이!!

에러 : 15메가 넘는 파일이!!

에러 : 15메가 넘는 파일이!!

에러 : 15메가 넘는 파일이!!

에러 : 15메가 넘는 파일이!!

에러 : 15메가 넘는 파일이!!

에러 : 15메가 넘는 파일이!!

에러 : 15메가 넘는 파일이!!

에러 : 15메가 넘는 파일이!!

에러 : 15메가 넘는 파일이!!

에러 : 15메가 넘는 파일이!!

에러 : 15메가 넘는 파일이!!

에러 : 15메가 넘는 파일이!!

파일 리스트 계속해서 보기(엔터키를 치세요)

<결과 3> 처리과정에서 생긴 예외를 모두 모아서 처리.


- 마무리.

오늘 예외처리에 대해서 봤습니다. 다음은~? 작업을 연쇄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을 보겠습니돠. 그럼 평안하시길. 어허허허허헣.


- 참고자료

1. Essential C# 4.0, Mark Michaelis, Addison Wesley
2.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dd460695.aspx
3. http://msdn.microsoft.com/en-us/magazine/ee321571.aspx
4.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system.aggregateexception.aspx

Welcome to Parallel C#(4) - 작업의 기본 Part 2.

C# Parallel Programming 2010. 6. 3. 09:0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잡설없이 바로 고고고!

지난 포스트의 마지막 예제에서 Task 클래스의 IsCompleted라는 속성을 사용했었습니다. 이름 그대로, 해당 작업이 끝났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속성인거죠. 이런 속성말고는 또 뭐가 있을까요? 몇 가지 쓸모 있는 속성을 들을 예제를 통해서 확인해보도록 하죠.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Exam4
{
    class Program
    {
        static string Calc(object from)
        {
            long sum = 0;
            long start = (long)from;
            Console.WriteLine("현재 이 메서드를 실행중인 스레드 ID : {0}",
                Task.CurrentId);

            for (long i = start; i < 100000000; i++)
            {
                sum += i;
            }
            return sum.ToString();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ask<string> task = new Task<string>(Calc, 1L);

            task.Start();

            Console.WriteLine("추가 스레드의 ID {0}",
                task.Id);

            Console.WriteLine("추가 스레드에 제공된 상태 값 : {0}",
                task.AsyncState.ToString());

            while (!task.IsCompleted)
            {
                if (task.Status == TaskStatus.Running)
                {
                    Console.Write(".");
                }
            }

            Console.WriteLine("");
            //여기서 추가 스레드가 끝날 때 까지 기다린다.
            Console.WriteLine(task.Result);
            System.Diagnostics.Trace.Assert(
                task.IsCompleted);
        }
    }
}

<코드1> 유용한 속성을 사용한 예제

<코드1>은 기본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는 속성들을 활용한 간단한 예제입니다. 우선 결과를 볼까요?

추가 스레드의 ID 1
현재 이 메서드를 실행중인 스레드 ID : 1
추가 스레드에 제공된 상태 값 : 1
................................................................................................................................................................
................................................................................................................................................................
................................................................................................................................................................
................................................................................................................................................................
................................................................................................................................................................
................................................................................................................................................................
...............................................................................................................................................................
................................................................................................................................................................
-중략-
................................................................................................................................................................
......................................................................................
4999999950000000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1> 실행 결과

그럼 속성을 하나씩 확인 해보면서 왜 저런 결과가 나왔는지 확인해보죠.

 속성명  설명 
 Task.CurrentId  현재 Task.CurrentId 호출을 처리하는 스레드의 Id
 AsyncState  스레드에 추척가능한 값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서 스레드가 3개가 있고, 각각 1,2,3 이라는 값을 부여했다면, 각각의 스레드의 AsyncState는 1,2,3 이므로 이 값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고, 스레드를 구별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Id  각각의 작업에 부여되는 고유한 Id
 Status  현재 작업의 상태를 표시한다. Created, WatingForActivation, WaitingForRun, Running, WaitingForChildrenToComplete, RanToComplete, Canceled, Faulted등이 있다. 
<표1> 유용한 속성들

네 각각의 속성을 한번 정리해봤습니다. 어헣. 추가 스레드의 아이디는 1이었죠. 그리고, Calc메서드를 실행하는 스레드도 역시 아이디가 1인 추가 스레드이기 때문에, Calc메서드 안에서 Task.CurrentId로 현재 실행중인 스레드의 아이디를 출력하면 1이 출력되는 것이구요. 스레드를 생성하면서, 상태값으로 1을 넘겨줍니다. 그래서, 그 상태값을 Calc메서드 내부에서 받아서 사용하기도 하고, 추후에 스레드의 상태값을 출력해볼 수도 있는 것이죠.


- 스레드 자세히 들여다 보기

그럼 비주얼 스튜디오에 새로 추가된 툴을 이용해서, 어떤 스레드가 생성되는지 한번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마, 뒤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드리겠지만, 오늘은 그냥 간단하게 살펴보는 정도로 하도록 하죠. <코드1>에 아래와 같이 코드를 추가합니다.

Debugger.Break();

Console.WriteLine("추가 스레드의 ID {0}",
    task.Id);

Console.WriteLine("추가 스레드에 제공된 상태 값 : {0}",
    task.AsyncState.ToString());
           
while (!task.IsCompleted)
{
    if (task.Status == TaskStatus.Running)
    {
        Debugger.Break();
        Console.Write(".");
    }
}

<코드2> 수정한 코드

Debugger클래스는 System.Diagnostics에 정의되어 있는데요, 브레이크 포인트를 걸지 않아도, Break메서드가 호출된 곳에서 실행을 멈추고 디버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그냥 Debug모드로 놓고 컴파일하지 않고 실행(Ctrl + F5)을 하면, 계속 에러가 나니 주의하시구요.

우선 F5로 실행을 하신다음에, 첫번째 브레이크 포인트에 걸리면, '디버그'메뉴에서 '창'메뉴로 들어가서 '스레드', '병렬스택', '병렬작업'을 띄웁니다. 그리고 '스레드'를 보면,

<그림1> 스레드 창

다음과 같이 현재 떠있는 스레드의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저 중에, '.NET SystemEvents'라고 된 스레드는 이벤트의 발생을 주시하고 있는 스레드이구요, 'vshost.RunParkingWindow'라고 된 스레드는 비주얼 스튜디오 호스팅 프로세스입니다. 그리고 '주 스레드'는 현재 Main메서드를 실행 중인 스레드를 말하구요. 그리고 ID가 4112라고 된 스레드가 추가로 생성한 스레드입니다. 어째서 그런지 확인을 해볼까요? 병렬 스택 창을 한번 확인해보죠.


<그림2> 병렬 스택 창

위 그림은 병렬 스택 창에서 스레드 그룹의 제목('4개 스레드'라고 쓰인 부분)에 마우스를 올리면 어떤 스레드가 있는지 보여주는 장면입니다. 총 3개의 스레드가 있는데, 앞에서 설명드린 3개의 스레드외에 작업자 스레드가 하나 있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바로 저 스레드가 우리가 추가로 생성한 스레드인거죠. 그런데, 호출 스택에 Main메서드를 실행하는 주 스레드만 한 단계 진행한 걸 볼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아직 추가 스레드에 작업이 물린 상태는 아닌 것 같습니다. 그러면, F5키를 눌러서 다음으로 넘어가 볼까요? 그리고 병렬 스택을 보면,


<그림 3> 바뀐 병렬 스택 창

이미 추가 스레드도 작업에 들어간 상태이다 보니, 추가 스레드가 한 단계 더 진행해서, Calc메서드를 실행하고 있다고 나옵니다. 그리고 병렬 작업 창을 한번 볼까요?

<그림 4> 병렬 작업 창

상태는 실행 중(== TaskStatus.Running)이고, 할당된 스레드는 4112번 작업자 스레드라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디버깅 툴을 잘 활용하면, 복잡한 병렬 프로그래밍을 하는 데 좀 더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겠죠? 이 디버깅 툴에 대해서는 나중에 좀 더 자세하게 설명드리도록 하지용.


- 마무리

앤더스 헬스버그는 C#에 영향을 미치는 3대 트렌드가 선언적, 동시적, 동적 프로그래밍 이라고 했는데요, 선언적 프로그래밍은 이미 LINQ를 통해서 편하게 지원되고, PLINQ로 확장이 되었죠. 그리고 동적 프로그래밍은 dynamic타입과 DLR을 통해서 지원이 되구요. 그리고 동시적 프로그래밍은 TPL과 이런 다양한 툴을 통해서 좀 더 제대로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제대로만 쓴다면, 비주얼 스튜디오 2010에서 쫌 편하게 작업할 수 있겠네요. 늘 문제가 되는건 제대로 쓸 줄도 모르면서 불평만 하는 저 같은 양민이져 어헣-_-.


- 참고자료

1. Essential C# 4.0, Mark Michaelis, Addison Wesley
2.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dd554943.aspx
3.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microsoft.win32.systemevents.aspx
4. http://social.msdn.microsoft.com/Forums/en-US/wpf/thread/f8ccec3a-25db-4d3b-a90a-e758f6243356/

Welcome to Parallel C#(3) - 작업의 기본.

C# Parallel Programming 2010. 5. 31. 09:0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작업해본 적이나 있수?

물론이죠-_-;; 이 나이에 작업해 본 적도 없으면, 마법사 정도가 아니라, 신이 됐겠죠. 어헣. 오늘의 작업은 그 작업은 아니고... 스레드와 관련된 작업입니다. 부디 오해 없으시길 바라고, 작업의 기본은 다른 연예 서적에서 얻으시길.


- Task 시작하기.

지난 포스트에서 했던 예제를 한번 돌아보겠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Exam2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t int max = 10000;

            //현재 작업중인 스레드외에 추가로 스레드를 생성
            Task task = new Task(() =>
                {
                    for (int count = 0; count < max; count++)
                    {
                        Console.Write("|");
                    }
                });

            //추가 스레드 시작
            task.Start();

            //현재 작업중인 스레드에서도 반복문 시작
            for (int count = 0; count < max; count++)
            {
                Console.Write("-");
            }

            //혹시 현재 스레드가 빨리 끝나더라도,
            //추가 스레드가 끝날 때 까지 기다리기.           
            task.Wait();
        }
    }
}

<코드1>

Main메서드를 실행하는 스레드 외에 또 하나의 스레드를 추가로 생성해서, 두 개의 스레드로 화면에 다른 문자열을 출력하는 예제였죠. 이 예제를 보면, Task라는 클래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클래스는 닷넷 프레임워크 4.0에 새롭게 추가된 클래스인데요. 기존의 멀티스레드 프로그래밍을 한 단계 높은 추상화를 통해서 프로그래머의 실수를 줄이고, 좀 더 직관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해주는 TPL(Task Parallel Library)에 포함되어서 추가된 클래스입니다. 중심에 있는 클래스라고 볼 수 있죠.

Task클래스는 관리되지 않는 스레드를 한단계 감싸서 추상화를 시킨 클래스입니다. 내부적으로 스레드 풀을 사용하는 데요, 내부적으로는 System.Threading.ThreadPool을 사용해서 요청에 따라 스레드를 새로 생성하거나, 이미 생성된 스레드를 재활용해서 부하를 줄입니다.

새로운 Task가 실행할 동작은 델리게이트를 통해서 명시해주는데요, <코드1>에서 굵게 처리된 부분이 바로 그 부분입니다. 카운트에 따라서 문자열을 출력하는 델리게이트를 생성자에 넘겨주고 있는 거죠. 물론, 이렇게 델리게이트를 넘겨준다고 해서 바로 스레드가 실행되는 건 아닙니다. Start메서드를 통해서 실행을 해줘야만 스레드가 실행되는 것이죠.


- Task가 끝날 때?

그러면, <코드1>은 두개의 스레드가 실행이 되면서 서로 다른 문자열을 번갈아 가면서 출력하겠죠. 여기서 한가지 생각해볼게 있습니다. 콘솔 어플리케이션은 Main메서드의 실행으로 시작하고, Main메서드의 끝과 함께 종료됩니다. 그렇다면, Main메서드의 실행을 맡은 스레드가 종료되었는데, 추가로 생성한 스레드의 작업이 안끝났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현재 작업중인 스레드외에 추가로 스레드를 생성
Task task = new Task(() =>
    {
        for (int count = 0; count < max; count++)
        {
            Console.Write("|");
        }
        Console.WriteLine("추가 스레드 끝");
    });

//추가 스레드 시작
task.Start();

//현재 작업중인 스레드에서도 반복문 시작
for (int count = 0; count < max; count++)
{
    Console.Write("-");               
}
Console.WriteLine("메인 스레드 끝");

//혹시 현재 스레드가 빨리 끝나더라도,
//추가 스레드가 끝날 때 까지 기다리기.           
//task.Wait();

<코드2>

<코드1>을 <코드2>와 같이 수정한 다음에 실행해보죠. 그러면, 둘 중의 어떤 스레드가 빨리 끝날까요? 그건 그때 그때 다릅니다-_- 그래서 아래와 같은 두 경우가 생길 수 있죠.

||||-----||||||||--------------|||||||||||||-------------||||||||||||-----------||||||---------------||||||||||||------------|||||||||||-----------||||||||||||--|||||||||||||-------|||||||||||-------------||||||||||||--------------||||||||||----------------|||---------------||||||||||||||-----||-------------||||||||||||----------------|||||||||||||-------------||||||||||||-------------|||---|------||||||||||||||-----------------|---------------||||||||||||||---------------메인 스레드 끝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1> 메인스레드가 먼저 끝나는 경우

|----------------|||||||||||||-----------||||||||||||||---------||||||||||||-----||||||||||||||||---------------||||||||||||||--------------||-----------||||||||------------|||||||||||||||-------------|--------------|||||||-------------|||||---||추가 스레드 끝----------------------------------------------------------------------------------------------------------------------------------------------------------메인스레드 끝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2> 추가 스레드가 먼저 끝나는 경우

<결과2>는 추가 스레드가 먼저 끝나면서 모든 결과가 출력이 되었지만, <결과1>은 Main메서드의 실행을 맡은 메인 스레드가 먼저 끝나면서 프로그램이 종료되었고, 따라서 추가스레드의 나머지 결과는 날아가 버렸습니다. Wait메서드는 메인 스레드가 먼저 끝나더라도, 추가 스레드가 끝날 때까지 기다리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메인 스레드가 빨리 끝나더라도, 항상 추가 스레드의 결과까지 제대로 출력되게 되는 것이죠.

||||||||--------|||||||||||||||--------------|||||||||||||------------|||||||||||||--------||||
||-메인 스레드 끝||||||||||||||||||||||||||||||||||||||||||||||||||||||||||||||||||||||||||||||||
|||||||||||||||||||||||||||||||||||||||||||||||||||||||||||||||||||||||||||||추가 스레드 끝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3> Wait메서드를 사용한 경우


- 가는 길은 여러갈래.

앞에서 스레드의 시작은 Start메서드를 통한다고 말씀 드렸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생성과 동시에 실행을 시킬 수도 있습니다.

Task task = Task.Factory.StartNew(() =>
                {
                    for (int count = 0; count < max; count++)
                    {
                        Console.Write("|");
                    }
                    Console.WriteLine("추가 스레드 끝");
                });
<코드3> 생성과 동시에 스레드 시작

<코드1>의 Task생성 부분을 <코드3>과 같이 수정하고, Start메서드 호출부분을 주석처리하면,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코드1>에서는 메인스레드가 추가 스레드가 끝날 때까지 기다리기 위해서 Wait메서드를 사용했지만, 다른 방법도 있습니다. 만약에 추가 스레드에 입력된 델리게이트가 결과값을 반환하고, 메인 스레드에서 그 결과값을 사용해야 한다면, 메인 스레드는 추가 스레드의 작업이 끝나서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립니다. Wait메서드 없이도 말이죠. 어찌보면 당연한 이야기죠 ㅋ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Exam3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ask<string> task = Task.Factory.StartNew<string>(
                () =>
                {
                    long sum = 0;
                    for (long i = 0; i < 100000000; i++)
                    {
                        sum += i;
                    }
                    return sum.ToString();
                });

            foreach (char busySymbol in BusySymbols())
            {
                if (task.IsCompleted)
                {
                    Console.WriteLine('\b');
                    break;
                }
                Console.WriteLine(busySymbol);
            }

            Console.WriteLine();
            //여기서 추가 스레드가 끝날 때 까지 기다린다.
            Console.WriteLine(task.Result);
            System.Diagnostics.Trace.Assert(
                task.IsCompleted);
        }

        private static IEnumerable<char> BusySymbols()
        {
            string busySymbols = @"-\|/-\|/";
            int next = 0;
            while (true)
            {
                yield return busySymbols[next];
                next = (++next) % busySymbols.Length;
                yield return '\b';
            }
        }
    }
}

<코드 4> 결과 기다리기.

<코드4>는 추가 스레드의 결과를 계속 기다리다가, 결과가 나오는 순간, 출력하고 끝납니다.


- 멀티스레드 쉽고만?

이라고 생각하시면 곤란하구요-_-;; 열심히 공부 중인데, 역시 어렵습니다. 다만, Task클래스가 상당히 많은 부분을 간소화 시켜 주기 때문에, 한 층 더 편해진 느낌이랄까요? 오늘 여기까지!


- 참고자료

1. Essential C# 4.0, Mark Michaelis, Addison Wesley

Welcome to Parallel C#(2) - 계속 되는 개념 찾기.

C# Parallel Programming 2010. 5. 27. 09:0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개념!!

군 생활을 하다 보면, 개념 없는 사람들을 많이 보게 됩니다. 가끔은 '내가 평생 이런 놈을 다시 볼 수 있을까?'싶은 사람도 보게되죠. 그리고 인간관계란 과연 무엇인지 원점에서 다시 생각해 보게 됩니다. 개념 없는 사람들도 사회에서 담당하는 역할이 있는 셈이죠. 오늘은 병렬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개념들을 같이 채워볼까 합니다. 개념 충만한 사람들은 훠이훠이~ 절로 가시고(저는 종교의 다양성을 존중합니당. 교회로 가실 분은 교회로..), 개념 없는 사람들만 저랑 같이 개념을 채워 보시져. 훗.


- 기본 개념!!!

스레드(Thread)

스레드는 다른 순차적 명령 집합(sequence of instructions)과 동시적으로 실행 가능한 순차적 명령 집합을 이야기 합니다. 예를 들면, 뭔가 작업을 처리하는 스레드가 있고, 그 작업의 현황을 화면에 표시하는 스레드가 있는 것 처럼 말이죠. 두 스레드는 서로 다른 순차적 명령 집합을 가지며, 동시적으로 실행 가능하죠. 그리고 두 개 이상의 스레드를 동시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멀티스레딩(multithreading)이라고 합니다. 흔히 이야기 하는 동시성이나 병렬성도 최대한 효율적으로 스레드를 여러개 사용하는 것이므로, 멀티스레드의 범주에 들어간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운영체제는 이런 멀티 스레드를 동시적으로 처리하는 것 처럼 보여주기 위해서 시간 쪼개기(time slicing)이라는 기법을 활용합니다. 즉, 사람이 눈치채지 못할 정도로 빠른 시간만큼 한번에 하나씩 스레드를 처리하는 것이죠. 단순하게 생각해서, 음악을 들으면서 비주얼 스튜디오로 코딩을 한다면, 사람이 눈치채지 못할 정도의 속도로, 예를 들면 1/24초 정도의 속도로 한번은 음악재생, 한번은 비주얼 스튜디오, 또 한번은 음악 재생, 또 한번은 비주얼 스튜디오 이런식으로 번갈아 가면서 처리하는 것이죠. 이걸 문맥 교환(context switching)이라고 합니다. <그림1>을 보시죠.

<그림1>본격 OS 스케쥴링 그림.jpg

<그림1>에서 나온 것 처럼, 사용자가 눈치채지 못 할만큼의 속도로 두 작업을 번갈아 가면서 CPU가 처리하도록 OS가 스케쥴을 조절하는 것이죠. 그런데 만약, 스레드가 너무 많아서 제대로 CPU를 점거하지도 못하고, 작업을 계속해서 교체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실제로 CPU가 작업을 처리하는 시간보다, 문맥 교환에 더 많은 시간이 들어가게 되므로, 음악이 벅벅 끊기는 등의 지름유발상황이 생기겠죠. 그럼, 시간 쪼개기를 한번 시뮬레이트 해 볼까영? 어헣.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Exam2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t int max = 10000;

            //현재 작업중인 스레드외에 추가로 스레드를 생성
            Task task = new Task(() =>
                {
                    for (int count = 0; count < max; count++)
                    {
                        Console.Write("|");
                    }
                });

            //추가 스레드 시작
            task.Start();

            //현재 작업중인 스레드에서도 반복문 시작
            for (int count = 0; count < max; count++)
            {
                Console.Write("-");
            }

            //혹시 현재 스레드가 빨리 끝나더라도,
            //추가 스레드가 끝날 때 까지 기다리기.           
            task.Wait();
        }
    }
}

<코드1>아주 단순한 코드

<코드1>은 아주 단순한 코드입니다. 콘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담당하는 스레드 외에, 추가로 스레드를 하나 더 생성해서, 두 스레드에서 똑같은 반복문을 돌면서 서로 다른 문자를 출력하게 하는 거죠. 결과를 볼까요?

-|---||||||||||||||||------|||||||||||||||---------------|||||||||||||-----------||||||--------------|||||||||||||--------------|||||||||||||------------||||||||--------------||||||||||||----------||||||||||||||---------|||||||||||||--------|||||||||||||||--------------|||||||||||||||-------------||||||||||||-||||||||||-----------------|||||||||||||||-------------||||||||||||||--|||||||||||||-------|||||||---------------|||||||||||||||----------||||||||||||||---------|||||||||-----------------||||||||||||||-------------|||||||||||||-------------||||||||||-----------------|||||||||||||------------|||||||||||||-----------||||||||------|||||||||||||--------|||||||||||||||-----||||||||||||||-------------||||||||||||----------------|||||||||||||---------------|||||--------------|||||||||||||----||||||||||||||||--------------|||||||||||||||---------||||||||||||-----------|||---------------||||||||||||||||----------------||||||-------------|||||||||----|||||||||||||||||-------------||||||||||||||-||||||||||||||-------------||||||||-------|||||||||||||||--------|--|||---------|||||||||||||--------|||||||||||---|||||||||||||||----------------|||||||||||||||--------------||||-----------------------------------------------------------------------------------------------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1>평범한 결과

서로 다른 문자가 출력되는 곳이 바로, 시간 쪼개기로 인한 문맥 교환이 일어나는 곳입니다. 정해진 시간만큼 한 스레드가 CPU를 점거하고 작업을 하는 것이죠. 그러면, 약간 방해를 해볼까요? 코드를 다음과 같이 약간 수정해봅니다.

Console.ReadLine();

//추가 스레드 시작
task.Start();

<코드2>수정된 아주 평범한 코드

그리고 이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는 동안, 다음과 같이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낮춰버립니다.

<그림2>프로세스 우선순위 낮추기 ㅋ

그리고 한번 실행해 볼까요? 프로세스의 우선순위가 낮아지면, 실행중인 작업이 우선순위가 높은 다른 프로세스에게 방해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지는 거죠.

---------|||||||----||||||||||||||||-----||||||||||||--------||||||||||||||------------|||||||||----------------||||||||||||||------------||||||||||||||-------------|||||||||||----------------|||||||||||||-----------||||||||||||||-------------||||||||||||--------||||||||||||||------------|||||||||||||||-------------|||||||||||||------||||||||||||||-------------||||||||||||||--------------|||||||||||-----------||||---------------|||||||||||||-------------||||||||||||||-------|||||||||||||----|||||||||||||--------------|||||||||||||||-------------|||||||||||||-|||||||||||---------------||||-------------|||||||||||||-------------|||||||||||||---------|----------------|||||||||||||-------------||||||||||||||-----------||||||||||||---------------|||||---------------------------------------------------------------------------------------------------------------------------------------------------------------------------------------------------------------------------------------------------------------------------------------------------------------------------------------------------------------------------------------------------------------------------------------------------------------------------------------------------------------------------------------------------------------------------------------------------------------------------------------------------------------------------------------------------------------------------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2>낮은 우선순위 결과

그런데, <결과2>를 보니, 얼마나 방해를 받은 건지 솔직히 잘 모르겠네요.('-'가 마지막에 막 출력된 건, '|'를 출력하는 스레드가 빨리 작업을 끝내서 입니당) 제 컴이 쿼드에 2.7GHz짜리인데, 아마도 이정도로는 방해가 안되는 거 같습니다. 그래서! 비주얼 스튜디오 2010 20개랑, 음악을 틀고, 바이러스 검사를 돌리고, 인터넷 익스플로러 8도 창을 7개정도 띄워놓고 실험을 해봤습니다.

-||||||||||||||||-------------|---------------|--------------||||||||||----------||||||||||||||-----------||||||||||||--------------|||||||||||---------||||||||-|||||||----|||||||||------------|||||||||||||-------------|||-----------||||||||---------------||||||||||||||-------------||||||-------------||||||||||--------||||||||||||||----|||||||||||||||--------------||||||||||||-----------||||||||||----------------|||||||||||----------|------------||-|||||||||------||-------|||--------------|||||||||||||------------|||||||||||||-------------|||||||||||----|||||||||||-----||||||||||||||---------------||||||||||||||------------|||||||||----------------||||||||||||--------|||||||||||||-------------|||||||||-------|||------------|||||-----|||||||------||||||||||||||||---------------------||||||------|||||||||||||||-------------||||||||||||||-------------||||||||||||--------||||||||||||||||-------------||||||||||--------------|||||||||-------||||------|----||||||-----||||||||||||||-------------|||||||||------------|||||||||||-------||||||||||||||--------------||||||||||||||--------------||||||||||--------||||
|--------------||||||||||||||||-----------|||||||||||||--|||||||||||------||||||||----------------||----||||||||||||||-----||||||||||||||||||||||||||||||||||||||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3>갖가지 태클을 가한 결과

<결과3>을 보시면, 어느 정도 패턴이 불안정 해진 걸 보실 수 있습니다. 제대로 처리도 못하고, '|'이거 딱 한개 출력하고 문맥 교환이 일어난 부분도 꽤 보이네요.


원자성(Atomicity)

원자성은 뭘까요? 원자성을 만족하는 조건을 보지요. 아래 조건 중에서 하나를 만족하면 원자성을 만족하는 것입니다.

1.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명령어 집합은 다른 작업이 끼어들기 전에 반드시 완료되어야 한다.
2. 작업을 처리 중인 시스템의 상태는, 작업을 처리하기 전의 시스템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어야 한다. 즉, 아무 작업도 처리되지 않은 시스템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은행 계좌에서 돈을 송금하는 걸 생각해보면요. 돈을 송금하기위한 몇가지 단계가 있습니다. 일단 계좌에 돈이 있는지 확인하고, 보낼 계좌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그리고 돈을 실제로 송금하는 것이죠. 이렇게 송금을 위한 각 단계를 밟는 와중에, 돈을 인출한다던가 하는 작업이 끼어들면 안되겠죠. 그리고 송금 절차가 완료되기 전에는 계좌에 아무런 변화가 없어야 하는 거죠.

C#에서 num++같은 연산을 보면, num의 값을 가져오고, num의 값을 1 증가시키고, num에 증가된 값을 넣는 절차를 밟는데요. ++연산자는 원자성을 만족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num에 증가된 새 값을 넣기 전에, 다른 스레드가 원래 값을 변경 시켜버린다던가 하는 일이 벌어질 수 있죠.


데드락(Deadlock)

데드락은 죽음을 잠근다는 뜻이므로, 죽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네, 저를 죽이려고 달려드는 사람들의 모습이 보이네요. 모두들 잠깐만 진정하시고....-_- 이건 서로 볼을 꼬집고서, '니가 먼저 안놓으면, 나도 안놓을 꺼임'하고 외치고 있는 꼬마들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꼬맹이들은 괜한데서 자존심을 세우죠. 그래서 먼저 놓으면 지는거라고 생각해서 안 놓습니다. 그래서 서로 계속해서 볼을 꼬집고 질질 짜게 되는 거죠. ㅋㅋㅋ

한 스레드는 A라는 자원을 점거하고, B를 가지고 와야 A를 놓아줍니다. 그리고 또 다른 스레드는 B라는 자원을 점거하고, A를 가져와야 B를 놓아준다고 해보죠. 그러면 이 스레드들은 서로 상대방이 가진 자원을 하염없이 기다리는 상황이 됩니다. 죽을 때까지 그 상태로 기다리겠죠. 그래서 이건 데드락입니다. 어헣.


- 정리하면서

위에서 설명드린 원자성이나 데드락은 여러개의 스레드에서 어떤 순서로 명령어를 실행하느냐에 따라서 복잡하게 발생합니당. 이런 프로그램을 짜려면 머리 빠지겠죠. 아이 무셔워라. 그래서 조심해야 하는 것이고, 이런 실수를 최대한 줄여주는 도구가 있어야 하는 것이죠!!

이게 왠 운영체제 수업이냐 하고 반감을 가지시는 분덜도 있으시리라 생각이 됩니다. 모.. 복습했다 생각하시고 어헣. 좋은게 좋은거니깐.. 어헣.


- 참고자료

1. http://www.cafeaulait.org/course/week11/03.html
2. Essential C# 4.0, Mark Michaelis, Addison Wesley

Welcome to Parallel C#(1) - 굿바이, 그리고 안녕~~?

C# Parallel Programming 2010. 5. 24. 09:0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끝은 또 다른 시작일 뿐.

인생에서는 항상 뭔가가 끝나면 뭔가가 시작되기 마련입니다. 직장을 그만두면, 직장인은 끝나지만, 백수가 시작되죠. 직장을 구하면, 백수가 끝나고 직장인을 시작하는 것이구요. 길고 길었으며, 별로 인기 없었던 Welcome to dynamic C#이 끝나고, 앞으로도 얼마나 길고 길지 모르며, 인기도 없을 Welcome to Parallel C#이 시작됩니다. 인생에선 끝이 안나는 것도 있더군요. 허접함은 불치병이라고 들었습니다. 시한부면 좋으련만. 흥. 그래도 이 팀 블로그에서 유일하게 만나실 수 있는 허접함의 향연이니, 나름 즐겁지 않으신가요. 어헣어헣.


- 자 언제나 그렇듯이 개념정리 부터 갑시다.

언제나 그렇죠. 제 글은 언제나 그래영. 우선 개념정리부터 하고 들어갑니당. 이 시리즈가 병렬적 C#에 대한 글이니, 우선 관련된 개념부터 정리하고 들어가야죠. 어헣. 이 바닥에서 흔히 사용되지만 쫌 헷갈리는 용어가 두 개 있죠. 바로, 동시성(Concurrency)와 병렬성(Parallelism)이죠. 여러분은 이거 잘 구분되시나영? 되시면 건너 뛰시구요, 안되면? 이 글은 바로 당신과 나를 위한 글인거죠. 아.. 이건 운명적 만남. 어헣.

이 개념을 잘 정리한 글을 찾아서 인터넷을 뒤졌는데, 그 결과 나름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첫번째 정리(동시성 vs 병렬성)

동시성과 병렬성은 같은 의미가 아니다. 만약, T1과 T2라는 두 개의 작업이 시간상 언제 어떻게 수행될지 미리 정해져있지 않다면, 그 두 작업은 동시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T1은 T2보다 빨리 수행되고 종료될 수 있다.
  T2는 T1보다 빨리 수행되고 종료될 수 있다.
  T1과 T2는 같은 시간에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이거슨 레알 병렬성.)
  T1과 T2는 교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2. 두번째 정리(동시적 vs 병렬적)

병렬성이라는 말은 여러개의 동일한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각각의 동시에 수행되는 동일한 작업들은 서로 독립적이다.) 동시성이라는 것은 여러개의 작업을 공통된 목표를 향해서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을 확실히 구분하기 힘든 것은, 동시성을 위해서 병렬성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퀵소트 알고리즘을 생각해보면, 퀵소트 알고리즘의 각 분리된 단계는 병렬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하지만 전체 알고리즘은 동시적이다. 즉, 퀵소트 알고리즘은 동시적 이면서도(각 분할된 단계에서 나온 결과를 종합해서 하나의 공통된 목표를 추구하므로), 각 분할된 단계의 정렬은 병렬적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병렬적인 각 단계의 정렬은 서로 무관하며, 서로 다른 데이터에 대해서 정렬을 하는 것이다. 그래서 좀 헷갈리긴 하겠지만, 전체 알고리즘을 병렬 퀵소트라고 부를 수도 있는 것이다.



- 넌 여전히 말이 많구나.

즉, 동시성과 병렬성은 서로 다른 개념이지만, 서로 같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서 확실히 구분하기가 애매한 경우도 있다는 말인데요. 어디 한번, 예제를 구경해보면서 이야기를 하시죠.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IO;

namespace Exam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ist<string> files = new List<string>();
            files.AddRange(Directory.GetFiles("C:\\음악", "*", SearchOption.AllDirectories));
            files.AddRange(Directory.GetFiles("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0.0", "*", SearchOption.AllDirectories));
            files.AddRange(Directory.GetFiles("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9.0", "*", SearchOption.AllDirectories));
            files.AddRange(Directory.GetFiles("C:\\Program Files (x86)\\Windows Mobile 6 SDK", "*", SearchOption.AllDirectories));
            List<string> fileList = new List<string>();

            foreach (var file in files)
            {
                FileInfo fileInfo = new FileInfo(file);
                if (fileInfo.Exists)
                {
                    if (fileInfo.Length >= 10000000)
                    {
                        fileList.Add(file);
                    }
                }
            }

            foreach (var file in fileList)
            {
                Console.WriteLine(file);
            }
        }
    }
}

<코드1> 일단 그냥 평범한 예제

<코드1>은 그냥 평범한 예제입니다. 명시해준 폴더에 있는 모든 파일을 검색해서 10메가가 넘는 파일의 목록을 만드는 프로그램이죠. 위 코드에서 왜 디렉토리를 저렇게 명시해줬냐고 물으신다면?!? 그냥 권한 때문에 접근 못하는 디렉토리가 있어서, 파일이 많은 디렉토리 위주로 골랐다고 대답해드리지요. 어헣. <코드1>을 동시성을 활용할 수는 없을까요? 만약에 동시성을 활용한다면, 어디를 동시적으로 실행 할 수 있을까요? 정답을 맞추시는 분께는 2박 3일로 하와이!!! 의 사진을 구경할 수 있는 기회를 드리겠습니다. 구글협찬이구요, PC는 개인지참입니다..... 아.. 상품대박.

foreach (var file in files)
{
    FileInfo fileInfo = new FileInfo(file);
    if (fileInfo.Exists)
    {
        if (fileInfo.Length >= 10000000)
        {
            fileList.Add(file);
        }
    }
}
<코드2> <코드1>에서 동시성을 활용가능한 곳!

넵, 바로 <코드2>가 동시성을 활용가능한 곳이지요. 왜냐면, 각 파일이름을 가지고 파일을 가져와서, 파일의 크기를 검사하는 각각의 작업은 서로 전혀 상관없기 때문이죠. '마재윤이조작이라니.jpg'라는 파일과 '박세식바보똥깨.avi'라는 파일에 대해서 동시에 작업이 진행된다고 해서 서로 겹치는 것도 없고, 문제가 될 것도 없습니다. 오히려, 순차적으로 수행할 때보다, 3-4개정도로 쪼개서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면 훨씬 빨라지겠죠. 그래서! 여기서 병렬성을 활용하게 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IO;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Exam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ist<string> files = new List<string>();
            files.AddRange(Directory.GetFiles("C:\\음악", "*", SearchOption.AllDirectories));
            files.AddRange(Directory.GetFiles("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0.0", "*", SearchOption.AllDirectories));
            files.AddRange(Directory.GetFiles("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9.0", "*", SearchOption.AllDirectories));
            files.AddRange(Directory.GetFiles("C:\\Program Files (x86)\\Windows Mobile 6 SDK", "*", SearchOption.AllDirectories));
            List<string> fileList = new List<string>();

            Parallel.ForEach(files, (file) =>
            {
                FileInfo fileInfo = new FileInfo(file);
                if (fileInfo.Exists)
                {
                    if (fileInfo.Length >= 1000000)
                    {
                        fileList.Add(file);
                    }
                }
            });

            foreach (var file in fileList)
            {
                Console.WriteLine(file);
            }
        }
    }
}

<코드3> 병렬성! 을 활용한 버전.

<코드3>에서 굵게 처리된 부분이 바로 변경된 부분입니다. 나머지는? 똑같죠잉~~. 어헣. 굵게 처리된 부분은 .NET 4.0에서 새로 추가된 부분이며, 추후에 더 자세하게 설명드릴 기회가 있을 것 같군뇨오! 그러니깐 일단 궁금증일랑 고이접어 나빌레라~ 하시고, <코드3>을 봅시당. <코드3>에서 분명 각 리스트를 몇 부분으로 쪼개서 수행시간을 줄이려고 병렬성을 도입했지만, 각 작업의 결과는 한 개의 리스트에 추가됩니다. 즉, 10메가 넘는 파일의 목록을 만든다는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병렬성을 사용한 것이죠. 즉, 위 코드는 병렬성을 활용한 동시적 코드입니다. 이게 위에서 열심히 동시성과 병렬성을 설명드린 내용인 거죠.


- 그래서? 얼마나 빠른기고?

자~ 그럼 얼마나 빠른건지 어디 한번 확인해봅시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IO;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Exam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ist<string> files = new List<string>();
            files.AddRange(Directory.GetFiles("C:\\음악", "*", SearchOption.AllDirectories));
            files.AddRange(Directory.GetFiles("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0.0", "*", SearchOption.AllDirectories));
            files.AddRange(Directory.GetFiles("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9.0", "*", SearchOption.AllDirectories));
            files.AddRange(Directory.GetFiles("C:\\Program Files (x86)\\Windows Mobile 6 SDK", "*", SearchOption.AllDirectories));
            List<string> seqFileList = new List<string>();
            List<string> parFileList = new List<string>();

            DateTime seqStart = DateTime.Now;
            //순차적 방식
            foreach (var file in files)
            {
                FileInfo fileInfo = new FileInfo(file);
                if (fileInfo.Exists)
                {
                    if (fileInfo.Length >= 10000000)
                    {
                        seqFileList.Add(file);
                    }
                }
            }
            DateTime seqEnd = DateTime.Now;
            TimeSpan seqResult = seqEnd - seqStart;

            DateTime parStart = DateTime.Now;
            //병렬적 방식
            Parallel.ForEach(files, (file) =>
            {
                FileInfo fileInfo = new FileInfo(file);
                if (fileInfo.Exists)
                {
                    if (fileInfo.Length >= 1000000)
                    {
                        parFileList.Add(file);
                    }
                }
            });
            DateTime parEnd = DateTime.Now;
            TimeSpan parResult = parEnd - parStart;

            Console.WriteLine("순차적 방식 : {0}",seqResult);
            Console.WriteLine("병렬적 방식 : {0}", parResult);
        }
    }
}

<코드4> 비교를 해보자!

<코드4>처럼 순차적 방식과 병렬적 방식의 시작 시간과 끝 시간을 기록해서 두 방식에서 걸리는 시간을 측정해봤습니다. 결과능~?

순차적 방식 : 00:00:01.6270960
병렬적 방식 : 00:00:00.6230368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 . .
<결과1> 비교 결과.

그렇쿤뇨. 병렬적 방식이 두배 이상 빠르게 나온 걸 볼 수 있습니다. 그저 기존의 루프를 병렬 루프로 바꾼 것 뿐인데 말이죠.


- 마무리 합시다.

일단 오늘은 기본적인 개념을 명확하게 하고, 아주 간략하게 예제를 봤습니다. 일단 .NET 4.0에서 병렬 프로그래밍이 상당히 편해진 거 같긴하죠? 조금씩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지요. 어헣.


- 참고자료

1. http://blogs.sun.com/yuanlin/entry/concurrency_vs_parallelism_concurrent_programming
2. http://my.opera.com/Vorlath/blog/2009/10/08/parallel-vs-concurrent
3. Essential C# 4.0, Mark Michaelis, Addison Wisley

Welcome to Dynamic C#(21) - 인덱스의 힘.

C# 2010. 5. 21. 09:0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인덱스는 왜 나오는 고냐...?

인덱스는 방대한 정보를 특정한 기준으로 잘 분류해 놔서 정보를 금방 찾을 수 있도록 해주는 고마운 장치이죠. 아무리 두꺼운 사전이 있다고 해도, 그 사전이 가나다 순이나 알파벳순으로 잘 인덱싱이 되어있지 않으면 쓸모없겠죠. C#도 그래서, 대화하기 여러운 COM과 잘 지내기 위해서 인덱스 가능한 프로퍼티를 사용하기 시작했쬬!


- 인덱스 가능한 프로퍼티가 몬데?

이름 그대로입니다. 그냥 이름 그대로 프로퍼티인데, 프로퍼티의 값을 가져올 때 인덱스로 특정 요소에 접근가능한 프로퍼티죠. 아래와 같은 모양이 인덱스로 접근하는 프로퍼티의 모습입니다.

myObject.MyIndexedProperty[index];

인덱스 가능한 프로퍼티는 내부적으로 그냥 간단한 접근자 메서드와 일반적으로 쓰이는 인덱서와 유사한 인덱서로 구성됩니다. 그냥 일반적으로 쓰는 인덱서처럼 생각할 수도 있죠. 그러면 일반적인 인덱서와의 차이점을 예제를 통해서 한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우선 일반적인 인덱서의 예제를 보시죠.

class D
{
    private int[] nums = new int[] { 1, 2, 3, 4, 5, 6, 7, 8 };

    public int this[int x]
    {
        get
        {
            return nums[x];
        }
    }
}

class C
{
    static void Main()
    {
        D d = new D();
        for (int i = 0; i < 8; i++)
        {
            Console.WriteLine(d[i]);
        }
    }
}


그리고 인덱스 가능한 프로퍼티의 사용예제입니다.

using System;
using Excel = Microsoft.Office.Interop.Excel;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namespace OfficeInteropExam2
{
    public class Account
    {
        public int ID { get; set; }
        public double Balance { get; set; }       
    }

    class Program
    {
        static void DisplayInExcel(IEnumerable<Account> accounts)
        {
            var excelApp = new Excel.Application();
            excelApp.Visible = true;
                       
            excelApp.Workbooks.Add();

            Excel._Worksheet workSheet = (Excel.Worksheet)excelApp.ActiveSheet;

            workSheet.Cells[1, "A"] = "ID Number";
            workSheet.Cells[1, "B"] = "Current Balance";

            var row = 1;
            foreach (var acct in accounts)
            {
                row++;
                workSheet.Cells[row, "A"] = acct.ID;
                workSheet.Cells[row, "B"] = acct.Balance;
            }

            workSheet.Range["A1", "B3"].AutoFormat(
                Excel.XlRangeAutoFormat.xlRangeAutoFormatClassic2);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var bankAccounts = new List<Account> {
                new Account {
                  ID = 345678,
                  Balance = 541.27
                },
                new Account {
                  ID = 1230221,
                  Balance = -127.44
                }
            };

            DisplayInExcel(bankAccounts);
        }
    }
}


전자는 간단하게 인덱서를 사용하는 예제이구요, 두번째는 엑셀에 데이터를 표시하는 COM 프로그래밍 예제입니다. 두번째 예제에서 밑줄친 부분이 바로 인덱스 가능한 프로퍼티를 사용한 부분입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별 차이가 없어 보이는데요. 내부적으로는 어떨까요? 리플렉터로 우선 첫번째 예제를 보겠습니다.


위에서 붉은 선으로 표시된 대로, 일반적인 인덱서 앞에는 'Item'이라는 이름이 붙습니다. 그리고 이 인덱서를 사용하는 부분의 코드는,

private static void Main()
{
    D d = new D();
    for (int i = 0; i < 8; i++)
    {
        Console.WriteLine(d[i]);
    }
}

위와 같이 소스코드와 큰 변화가 없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두번째 예제는 어떨까요? 인덱스 가능한 프로퍼티가 사용된 부분만 리플렉터로 보면,

workSheet.get_Range("A1", "B3").AutoFormat(XlRangeAutoFormat.xlRangeAutoFormatClassic2, Missing.Value, Missing.Value, Missing.Value, Missing.Value, Missing.Value, Missing.Value);

'Range["A1", "B3"]'이라고 썼던 부분이 'get_Range'라는 메서드 호출로 바뀐걸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저 get_Range를 한번 찾아볼까요?


위에서 보시듯이 'Item'이라는 표시가 없습니다. 즉 일반적인 인덱서가 아니라는 이야기죠. 그리고 접근자 메서드를 가지고 있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위에서 인덱스 가능한 프로퍼티가 '접근자 메서드와 일반적으로 쓰이는 인덱서와 유사한 인덱서로 구성'된다고 이야기 한 부분이 바로 이걸 가리키는 말이었던 거죠.


- 찝찝하지만..

인덱스 가능한 프로퍼티를 그동안 추가하지 않았던 이유는 C#팀의 디자인 철학과 맞지 않아서 였다고 합니다. C#팀에서는 'C라는 타입안에 있는 P라는 프로퍼티에 접근해서 값을 가지고 온다. 그리고 그 결과값에 대해서 인덱스로 접근한다'는 시나리오가 더 옳다고 생각한다고 하네요.

하지만, 인덱스 가능한 프로퍼티를 사용하는 COM이 무척이나 많이 퍼져있다는 게 문제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전 포스트에서 언급 해드렸던 이유와 같은 이유로 COM 프로그래밍을 지원하기 위해서 이런 기능이 추가되었다고 하네요.

비록 인덱스 가능한 프로퍼티를 사용할 수 있긴 하지만, C#에서는 인덱스 가능한 프로퍼티를 선언할 수는 없습니다. COM 라이브러리가 tlbimp라는 툴을 이용해서 만들어 지기 때문에, C#에서는 만들수 없다고 하네요. 즉 C#에서는 COM 라이브러리에 대해서만 인덱스 가능한 프로퍼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죠.

컴파일러는 COM 타입에서 인덱스 가능한 프로퍼티로 보이는 걸 모두 임포트해둔다고 합니다. 그래서 해당 프로퍼티에 대해서는 이름을 붙인 인덱서 문법을 이용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하네요. 즉, '컴파일러는 이름을 붙인 인덱서 문법을 통해서 인덱스 가능한 프로퍼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죠. 위의 예제에서 보여드렸듯이 일반적인 프로퍼티는 접근자 메서드를 통해서 바로 접근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문법적으로는 매우 유사한 형태를 취하면서 내부적으로는 다른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죠.


- 오버로드 판별도 해보자.

인덱스 가능한 프로퍼티가 추가되면서 또 오버로드 판별에 변수가 생겼습니다. 아래의 예제를 가지고 설명을 해보면요,

myObject.MyIndexedProperty[index];

우선 컴파일러가 이 구문을 보게 되면, '.'왼쪽을 그 객체의 타입과 연결시킨다고 합니다. myObject의 타입이 예를 들어서 MyType이라고 하면, 그 둘을 연결시키는 것이죠. 그 다음에는 MyIndexedProperty라는 이름을 MyType에서 쭉 훑어보면서 찾습니다.

하위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컴파일러가 만약 검색중에 같은 이름을 가진 평범한 프로퍼티를 보더라도 무조건 그 프로퍼티와 호출을 바인딩하게 됩니다. 하지만, MyType에서 MyIndexedProperty라는 프로퍼티를 발견했다고 해도, MyType에 인덱서가 없다면 이 프로퍼티에 호출을 바인딩하지는 않습니다.

이렇게 인덱스 가능한 프로퍼티를 제외한 일반적인 바인딩이 실패 했다면, 컴파일러는 MyType이 ComImport타입인지 확인합니다. ComImport타입이 맞다면, MyType에서 사용가능한 인덱스 가능한 프로퍼티의 리스트를 만들어서, 후보군에 대해서 오버로딩 판별을 하는데, 이때의 판별 알고리즘은 평범한 프로퍼티와 동일하게 진행됩니다. 그저 이름으로 인덱서를 취급하듯이 하는 것이죠.

그리고 인덱스 가능한 프로퍼티를 사용했다고 해서 특별한 일이 일어나는 건 아닙니다. 그저 예전버전에서 값을 가져오려면 적어야 했던 내용을 그대로 생성해주는 syntactic sugar일 뿐이기 때문이죠. 이 부분은 아래의 예제를 보시면 좀 더 명확해 집니다.

//인덱스 가능한 프로퍼티를 사용한 경우
workSheet.Range["A1", "B3"].AutoFormat(
    Excel.XlRangeAutoFormat.xlRangeAutoFormatClassic2);

//기존버전에서 작업해야 했던 경우
workSheet.get_Range("A1", "B3").AutoFormat(Excel.XlRangeAutoFormat.xlRangeAutoFormatClassic2,
    Type.Missing, Type.Missing, Type.Missing, Type.Missing, Type.Missing,
    Type.Missing);

위에서 보여드렸던 예제중에서 인덱스 가능한 프로퍼티를 사용한 코드를 리플렉터에서 보면 아래와 같았습니다.

workSheet.get_Range("A1", "B3").AutoFormat(XlRangeAutoFormat.xlRangeAutoFormatClassic2, Missing.Value, Missing.Value, Missing.Value, Missing.Value, Missing.Value, Missing.Value);

똑같죠? 넵. syntatic sugar일 뿐이니까요. 낄낄낄.


- 마치면서

이번 포스트는 내용을 정리하면서 좀 힘들었습니다. 내공의 부족 때문인지 내용이 제대로 이해가 안됐기 때문이죠. 그런데 예제를 만들고 확인해보고 하니깐 조금씩 이해가 되더군요. 정리가 잘 된건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 참고자료

1. http://blogs.msdn.com/samng/archive/2009/11/03/com-interop-in-c-4-0-indexed-properties.aspx
2.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dd264733%28VS.100%29.aspx

Welcome to Dynamic C#(20) - 어르신과 대화하는 법.

C# 2010. 5. 17. 09:0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어르신과 대화하려면 어케 해야 되는거임?

간단합니다. 말씀하시는 내용을 잘 경청하고, 대꾸는 딱 필요한 만큼만 하면 되는 거죠. COM은 아마 그동안 C#이 못마땅 했을 겁니다. VB.NET은 공손하게 필요한 말만 딱 하는데, C#은 'Type.Missing'이 어쩌고 저쩌고 주저리주저리 말이 많았기 때문이죠. C#도 이제 99년도 부터 출발했다고 볼때, 11년이나 되었으니 꽤 성숙한 셈이죠. 이제 예의를 갖추기 시작한 겁니다. 낄낄낄.


- C#의 버릇없던 옛 시절.

그러면 C#얼마나 버릇이 없었는지 아주 간단한 예제를 통해 알아보시죠.

using System;
using Word = Microsoft.Office.Interop.Word;

namespace ConsoleApplication3
{
    class Program
    {
        static void CreateIconInWordDoc()
        {
            var wordApp = new Word.Application();
            wordApp.Visible = true;

            object useDefaultValue = Type.Missing;

            wordApp.Documents.Add(ref useDefaultValue, ref useDefaultValue,
                ref useDefaultValue, ref useDefaultValue);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reateIconInWordDoc();
        }
    }
}


위 예제는 그냥 오피스 워드 창을 하나 띄우는 예제입니다. 그런데 평소에 오피스 COM 프로그래밍을 접해보지 못한 분이라면, 뭔가 특이한 점을 발견하셨을 겁니다. 'Type.Missing'같은 독특한 걸 object형 변수에 넣고, Add메서드에 여러번 반복해서 써넣기 때문이죠. 딱히 값을 리턴받아서 뭘 하는 것도 아닌 것 같고, Missing이라면 뭔가 없다는 것 같은데, 없는 값을 왜 저렇게 반복해서 넣어야 할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죠. 이제 COM이 왜 C#을 싫어했는지 아시겠나요? 말이 많았거든요.

지난 포스트에서 보셨듯이, C# 4.0은 다른 런타임과의 상호운용에 신경을 무척 많이 썼으며, 그중의 하나가 COM과의 상호운용이었습니다. C# 4.0에서는 COM과 대화할 때 좀더 말을 적게 하면서 예의를 갖춰서 대화를 하게 된 것이죠. 컴파일러가 COM 객체를 대상으로 작업하고 있다는 걸 눈치채는 순간, 컴파일러는 매개변수에 'ref'키워드를 안붙이고 메서드나, 인덱서, 프로퍼티에 넘길 수 있도록 해줍니다.

using System;
using Word = Microsoft.Office.Interop.Word;

namespace OfficeInteropExam2
{
    class Program
    {
        static void CreateIconInWordDoc()
        {
            var wordApp = new Word.Application();
            wordApp.Visible = true;

            object useDefaultValue = Type.Missing;

            wordApp.Documents.Add(useDefaultValue,
                useDefaultValue, useDefaultValue, useDefaultValue);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reateIconInWordDoc();
        }
    }
}


즉 C# 4.0에서는 위 처럼 ref를 빼고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리고 컴파일러가 나중에 각 매개변수 앞에 ref를 붙여서 컴파일 하는 것이죠. 일종의 syntactic sugar인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지난 포스트까지 설명드렸던 Named and Optional Arguments를 이용하면 아예 매개변수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Word = Microsoft.Office.Interop.Word;

namespace OfficeInteropExam2
{
    class Program
    {
        static void CreateIconInWordDoc()
        {
            var wordApp = new Word.Application();
            wordApp.Visible = true;

            wordApp.Documents.Add();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reateIconInWordDoc();
        }
    }
}


지난 포스트까지 설명드렸듯이 아예 매개변수를 생략하면 기본값으로 설정된 값이 넘어가게 됩니다. 그러면, Add메서드의 각 파라미터에는 기본값이 어떻게 설정되어 있을까요? Add메서드의 정의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Document Add(ref object Template = Type.Missing, ref object NewTemplate = Type.Missing, ref object DocumentType = Type.Missing, ref object Visible = Type.Missing);

위에서 보시듯이, 기본값은 'Type.Missing'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즉 매개변수를 생략하고 Add메서드를 호출하면, 기본값으로 Type.Missing이 넘어가고 컴파일러는 거기에 자동으로 ref를 붙여서 호출을 완성시켜 주는 것이죠. 지금은 겨우 파라미터가 4개정도라서 감흥이 없으실지도 모르겠지만, 파라미터가 30개정도 되는 메서드들을 자주만나다보면 아마 이 기능이 너무나도 고맙게 느껴지시겠죠? ㅋㅋㅋㅋ


- 마치면서

오늘은 아주 짧게 향상된 COM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COM이 안쓰이길 바랬음에 불구하고 많이 쓰이니 어쩔 수 없이 C# 4.0에서 COM에 대한 지원이 많이 들어갔다고 하는걸 보니, 역시 기술의 생명은 벤더에게만 달린게 아니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하고 다음에 또 뵙죠!


- 참고자료

1. http://blogs.msdn.com/samng/archive/2009/06/16/com-interop-in-c-4-0.aspx
2.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dd264733%28VS.100%29.aspx

Welcome to Dynamic C#(19) - 위너 고르기.

C# 2010. 5. 13. 09:0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위너를 고르는 방식!

위너라니, 무슨 위너이야기 일까요? 넵. 메서드 오버로딩에서 호출에 맞는 메서드를 고를때, 어떤 경우에 어떤 메서드가 더 적합한지 고르는, 즉 메서드 오버로딩 중에서 위너를 고르는 거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아마도 이런 경우는 생각보다 자주일어날 것 같은데요. 과연 컴파일러는 어떤 방식으로 위너를 고를까요? 키로? 얼굴로? 능력으로? 한번 알아보시죠.


- 첫번째 경우

일단 두 메서드의 파라미터 개수가 같다고 할때는 매개변수가 어떤 타입의 파라미터로 형변환하는게 더 나은것인지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class C
{
    public void Foo(object o) { Console.WriteLine("object"); }
    public void Foo(int x) { Console.WriteLine("int");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 c = new C();
        c.Foo(10);
    }
}


그럼 위의 예제에서는 누가 위너가 될까요? 10은 정수니까, object로 형변환도 가능하고, int로도 형변환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정수는 object보다는 int로 형변환 되는게 더 적합한 형변환이죠. 그래서 여기서는 'Foo(int x)'가 위너가 됩니다. 'Foo(int x)' ㅊㅋㅊㅋ


- 두번째 경우

두번째 경우는 파라미터 배열이 끼어듭니다.

class C
{
    public void Foo(int x, int y) { Console.WriteLine("int twins"); }
    public void Foo(params int[] x) { Console.WriteLine("params");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 c = new C();
        c.Foo(10, 20);
    }
}


첫번째 예제를 약간 변형시킨 건데요. 컴파일러는 파라미터 배열을 보자마자 이 파라미터 배열을 확장시켜서 메서드의 시그니처를 'Foo(int x_1, int x_2)'같이 만들고 이 시그니처를 가지고 오버로딩의 후보군에 끼워넣는다고 합니다. 그런데 컴파일러가 파라미터 배열을 확장만 시키는게 아니라, 파라미터 배열에서 확장되었음을 표시한다고 하네요. 그리고 파라미터에서 확장된 시그니처의 경우는 오버로드 판별에서 2등급으로 취급된다고 합니다. 즉 메서드 시그니처가 동일할 경우에 파라미터 배열은 2등급이기 때문에, 다른 일반적인 1등급 파라미터에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된다고 합니다. 위의 예제에서는 'Foo(int x, int y)'가 위너네요. ㅊㅋㅊㅋ


- 세번째 경우

이제 드디어 지금까지 열심히 이야기 해온 옵셔널 파라미터가 끼어들 차례입니다.

class C
{
    public void Foo(int x) { Console.WriteLine("int"); }
    public void Foo(int x, int y = 0, int z = 10)
    { Console.WriteLine("optionals");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 c = new C();
        c.Foo(10);
    }
}


위 예제는 쫌 난감합니다. 'c.Foo(10)'라는 호출만 보자면, 둘다 똑같이 해당되기 때문이죠. 첫번째 Foo는 시그니처가 완전히 일치하고, 두번째 Foo도 x를 제외한 값은 모두 기본값이 사용될 수 있으니까요. 이 경우에는 파라미터 배열과 같이 옵셔널 파라미터를 2등급으로 취급한다고 합니다. 즉 첫번째 Foo메서드가 옵셔널 파라미터가 하나도 없기 때문에 첫번째 Foo가 위너가 되는 것이죠. 그런데 만약에 첫번째 메서드에도 옵셔널 파라미터가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class C
{
    public void Foo(int x, int y = 0) { Console.WriteLine("optional1"); }
    public void Foo(int x, int y = 0, int z = 10)
    { Console.WriteLine("optional2");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 c = new C();
        c.Foo(10);
    }
}


위와 같이 작성된 경우 말이죠.


이런 에러를 보게됩니다. 즉, 둘간의 차이를 분별해낼 수 없기 때문에 모호한 호출이라는 것이죠.


- FAQ!

옵셔널 파라미터는 그동안 아주 꾸준히 C#에 추가해달라고 요청하던 기능입니다. 특히 오피스같은 COM과 연동하는 작업을 하는 프로그래머들이 많이 요청을 했었습니다. 왜 이런 기능을 예전에 안하고 지금하느냐? 하는 질문이 있을 법한데요. C#개발팀의 Sam Ng가 답변한 내용을 옮겨볼까 합니다.

1. 왜 이걸 좀 더 일찍하지 않았냐?

- 왜 이걸 좀 더 일찍 하지 않았느냐 하면 말이죠. 우린 진짜 이 기능이 C#에 포함되지 않았으면 했습니다. 이걸 그동안 계속해서 미뤄온 건, 이건 우리가 원했던 패러다임이 아니었기 때문이었죠.

2. 그럼 왜 지금은 이걸 추가했느냐?

- 이게 다 COM 때문이죠. 진짜 이건 사라지지를 않더라구요! 이걸 없앨려고 노력했지만, 사람들은 계속 이걸 사용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사용하려고 하더군요. C#이랑 COM이랑 무슨 관계냐구요? 오피스. 오피스 PIAs때문이죠. 오피스 PIAs는 대부분 30개정도의 파라미터를 갖는 메서드로 이루어져 있죠. 그 파라미터의 대부분은 옵션이구요. 대부분의 경우에는 한개정도의 매개변수만 적어주고 나머지는 다 기본값을 사용하면 되는거죠.

이제 Named and Optional Parameters를 통해서 옵션인 파라미터는 안적고도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죠. 오피스 메서드를 호출할때도 모든 매개변수마다 Type.Missing같은거 안적어주고도 호출할 수 있는거죠. 그리고 매개변수에 해당하는 파라미터 이름을 적을 수 있기 때문에, 딱 필요한 거만 매개변수로 넘겨주고, 나머지는 생략할 수 있죠.

그리고 ref 없이 COM을 사용할 수 있도록한 기능과 조합해서 사용하면 COM 코드가 더 간결해지고 지루한 작업은 매우 줄어들겁니다. 컴파일러가 옵션인 ref 파라미터에 넘겨줄 임시값을 만들어서 매개변수를 넘겨주거든요.

제가 예전에 이야기 했듯이 C# 4.0의 큰 테마중의 하나가 다른 런타임(COM, 동적언어 등)과의 상호운용이에요. 그런 테마가 이런 기능을 반드시 갖추도록 했던거죠.


- 마치면서

아~ 이제 Named and Optional Parameters에 대해서 할말은 다 한것 같습니다. 자료를 읽으면서 저도 많이 배우고 재밌는 내용도 많이 읽었네요. 여러분은 어떠셨나요? 호호호호-_-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하고~ 다음에 또 다른 이야기 가지고 오겠습니다!


- 참고자료

1. http://blogs.msdn.com/samng/archive/2009/04/17/named-and-optional-arguments-ties-and-philosophies.aspx

Welcome to Dynamic C#(18) - 이름을 붙이면서 벌어진 일들.

C# 2010. 5. 10. 09:0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무슨일인데 그러냥?

네. 언제나 기존의 질서안에서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려고 하면 새로운 문제들이 생기기 마련이죠. 오늘은 매개변수에 이름을 붙이면서 생겨난 문제와 내용에 대해서 설명을 드려보려고 합니다. 우끼끼끼!!


- 이름은 다 어디서 가져오놔?

우선, CLR이 파라미터 이름은 메서드 시그니처의 일부로 보지 않기 때문에 A라는 메서드를 오버라이드해서 B라는 메서드를 작성한다고 할때, A와 B의 파라미터 이름이 다르다고 해도 전혀 문제되지 않습니다.

public class Animal
{
    public virtual void Eat(string foodType = "Rice")
    {
    }
}

class Monkey : Animal
{
    public override void Eat(string bananaType = "Rainbow Banana")
    {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onkey m = new Monkey();
        Animal a = m;

        m.Eat(bananaType: "Black Banana");
        a.Eat(foodType: "Hamburger");
    }
}


위의 예제를 보시면, Animal을 Monkey가 상속해서 Eat을 오버라이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메서드 간의 파라미터 이름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런데요, 이름이 틀리게 되면 또 하나의 의문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언제 어떤 이름이 쓰이는 걸까요? 해답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수신자를 중심으로 생각하는 것이죠.

여기서 수신자란 메서드의 호출대상이 되는 객체를 말하는데요. 'm.Eat()'에서는 m이 수신자가 되는 것이죠. 즉, 'm.Eat'에서 m은 정적타입인 Monkey타입의 객체입니다. 그래서 m.Eat에서는 Monkey클래스에 정의된대로, 'bananaType'을 파라미터의 이름으로 가져옵니다. 그리고 a.Eat에서는 Animal클래스에 정의된대로, 'foodType'을 파라미터의 이름으로 가져오는 것이죠. 주의깊게 보셨다면, m에서 생성한 객체를 그대로 a에 넣어주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즉, 동일한 객체라는 의미인데요. 동일한 객체에 대해서라도, 수신자를 중심으로 파라미터의 이름을 가져온다는 이야기가 되는거죠.


- 이름을 가져올 때 안에서 벌어지는 일.

class Calc
{
    static double CalcRatio(double source,
        double factor1 = 0.87,
        double factor2 = 1.0)
    {
        return source * factor1 * factor2;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alcRatio(92.1, factor2:1.11);
    }
}


위와 같은 코드를 가지고 생각을 해보겠습니다. 실제로 위 코드가 실행될 때까지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말이죠. 우선 컴파일러가 'CalcRatio'를 호출하는걸 보게되면, 이름을 붙이지 않은 매개변수가 이름을 붙인 매개변수보다 앞쪽에 있는지 확인을 합니다. 그리고 매개변수에 붙인 파라미터의 이름이 중복되지 않는지 확인합니다. 같은 파라미터에 두개의 매개변수를 넘길수는 없으니 말이죠. 그리고는 적용가능한 모든 후보메서드군을 생성합니다. 위의 예제에서는 딱 한개뿐이죠. 그 후에는 각각의 후보메서드에 대해서 몇가지 검사를 합니다.

일단 메서드 호출에 적혀있는 파라미터의 이름이 후보군에 있는 메서드의 파라미터 이름과 동일한지 검사합니다. 여기서는 'factor2'의 이름을 각 후보메서드가 파라미터로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겠죠. 그리고 이름이 붙은 모두 매개변수와 파라미터가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즉, CalcRatio의 파라미터 중에 이름이 붙지 않은 매개변수를 받지 못한 factor1, factor2는 이름이 붙은 매개변수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고, 같은 파라미터에 중복되는 매개변수가 없어야 한다는 것이죠.

만약에 이름이 붙은 매개변수나 이름이 붙지않은 매개변수 어느 것도 받지 못한 파라미터가 있다면, 컴파일러는 그 파라미터가 옵셔널 파라미터인지 검사합니다. 만약에 그 파라미터가 옵셔널 파라미터라면, 기본값을 파라미터에게 넘겨줄 매개변수로 사용하게 됩니다.

이런과정을 겨처서 매개변수 목록이 정리되면, 컴파일러는 늘 하듯이, 각 매개변수가 형변환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을 합니다. 위의 예제에서 정리된 매개변수의 목록은 ['92.1', '0.87', '1.11']가 되겠죠.

이 모든 과정은 철저하게 컴파일 시점에서 벌어지는 'syntactic sugar'입니다. syntactic sugar는 그저 프로그래머의 수고를 덜어주는 역할을 하는 기능을 뜻하는 데요, 지금까지 설명드린 'Named and Optional Parameters'는 새로운 참조를 요구하지도 않고, 새로운 호환성 문제를 만들지도 않습니다. 생성된 IL을 보면, 그냥 일반적으로 호출하는 모양과 차이가 없기 때문이죠. 즉, 컴파일러가 위에서 설명드린 과정을 거쳐서 정리된 매개변수의 목록을 만들고 나면, 프로그래머가 원래 똑같은 매개변수목록으로 메서드를 호출한 것 처럼 처리를 합니다. 그래서 컴파일이 되고 난 후에, 메서드의 파라미터 이름이 바뀌거나 새로운 옵셔널 파라미터가 추가되어도 아무문제 없이 동작하는 것이죠.


- 중요한 거 한가지만 더!! 캬캬캬

class Calc
{
    static int GetNum1()
    {
        Console.WriteLine("GetNum1");
        return 1;
    }

    static int GetNum2()
    {
        Console.WriteLine("GetNum2");
        return 1;
    }

    static int GetNum3()
    {
        Console.WriteLine("GetNum3");
        return 1;
    }

    static void DoSth(int num1, int num2, int num3)
    {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oSth(num3: GetNum3(),
        num1: GetNum1(),
        num2: GetNum2());
    }
}


위와 같은 예제가 있다고 했을때요, 아마도 컴파일러는 매개변수의 순서를 재정렬해서 num1, num2, num3의 순서로 각 파라미터에 넘겨줄 것 같은데요. 메서드안의 GetNum시리즈는 어떤 순서로 평가될까요? 써있는 순서대로 앞에서 뒤로 할 것같다고 생각하셨다면 정답! 입니다. 처음에 GetNum3, GetNum1, GetNum2의 순서로 말이죠. 결과를 보시면 명확합니다.


내부적으로는 각 파라미터에 대한 표현식의 결과를 저장할 공간을 임시로 만들고, 각 표현식의 결과를 저장한 후에, 그 임시값들을 순서에 맞게 재정렬해서 파라미터에게 넘겨준다고 합니다. 재밌지 않나요? 저만 그런가효? 호호호호-_-;;;;


- 마치면서

이제 Named and Optional Parameter(도대체 한글로 뭐라고 써야할지 감이 안잡히네요-_-)에 대해서 기본적인 이야기는 한 것 같은데요. 처음에는 '그냥 파라미터에 기본값을 줄 수 있고, 매개변수를 넘겨줄 때 순서를 바꿔서 줄 수도 있다' 이정도 인줄 알았는데, 공부를 하다보니 생각보다 복잡하기도 하고 재미있는 내용이 많아서 글로 정리하면서도 즐거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죠~~~~~!


- 참고자료

1.
http://blogs.msdn.com/samng/archive/2009/04/01/named-arguments-and-overload-resolution.aspx

Welcome to Dynamic C#(17) - 필요한 말만 하고 삽시다.

C# 2010. 5. 7. 09:0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이젠 dynamic을 벗어나서!

문득 제가 거의 1년 가까이 dynamic만 이야기를 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_-;;;; C# 4.0에 dynamic만 추가된게 아닌데 말이죠;;; 반성을 하면서! 이제 dynamic말고 다른 이야기를 좀 하겠습니돠.


- 파라미터에 기본값을 설정하는거지.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여러가지 파라미터를 가지는 메서드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호출시에 꼭 매번 넘겨줘야 하는 파라미터가 있는가 하면, 대부분의 경우 그냥 한가지 값으로만 쭉~ 사용하는 파라미터도 있습니다. 그래서 C#에서는 늘~ 메서드 오버로딩을 통해서 파라미터가 축약된 메서드를 정의해주고, 그 메서드 안에서 원래의 메서드를 호출하면서, 기본값을 매개변수로 넘겨주는 형태를 취했습니다. 그래서 많은 프로그래머들이 메서드를 정의할 때, 파라미터에 기본값을 정의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그리고 그 메서드를 호출할 때, 기본값을 그대로 쓰는 경우에는 매개변수를 생략할 수 있게 해달라고 말이죠.

C# 4.0에서 파라미터에 기본값을 설정하는데는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class C
{
    static int Add(
        [DefaultParameterValueAttribute(10)] int num1,
        int num2 = 30)
    {
        return num1 + num2;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Add(15));
    }
}


위의 코드를 보시면, num1에는 DefaultParameterValueAttribute라는 어트리뷰트가 붙어있는 걸 보실 수 있는데요. 이건 그냥 하위호완성과 COM, VB와의 상호운용을 위해서 만들어진거라고 합니다. 이 방법은 권장되지 않는데요, 왜냐하면 이 어트리뷰트는 특정 파라미터에 기본값이 있다는 건 명시하지만, 그 파라미터가 옵션인지 아닌지는 명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즉 컴파일러 조차 이 파라미터가 옵션으로 생략가능한지 인식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결국에는 명시된 기본값은 아예 사용되지도 못하는 거죠.

그리고 'num2' 파라미터를 보시면 이 부분은 두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첫째는 컴파일러에게 이 파라미터가 옵션으로 생략가능하다는 걸 알려주는 거구요, 둘째는 프로그래머가 이 파라미터에 아무 값도 안 넘겨주때 사용할 수 있는 기본값을 컴파일러에게 알려주는 것입니다. Add메서드를 호출할 때 인텔리센스를 보면요,


위에서 말씀드린대로, 'num1'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기본값은 설정이 되어있지만, 옵션이라는 표시가 없기 때문에 생략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트리뷰트에 명시된 기본값은 아예 사용되지 않는 것이구요. 그리고 'num2' 파라미터를 보시면, 기본값이 30이라고 표시되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표시된 파라미터는 옵션으로 생략가능한 것이구요.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15와 'num2' 파라미터의 기본값인 30이 더해져서 45라는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 파라미터에 기본값을 설정하면 어케 되는고얌~?

위의 Add메서드를 리플렉터에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private static int Add([DefaultParameterValue(10)] int num1,
                              [Optional, DefaultParameterValue(30)] int num2)
{
    return (num1 + num2);
}

'num1' 파라미터는 위에서 선언해준 어트리뷰트가 그대로 설정되어 있는 걸 보실 수 있구요. 'num2' 파라미터를 보시면, 기본값을 설정하는 게 실제로는 두가지 일을 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파라미터에 DefaultParameterValue 어트리뷰트를 통해서 기본값을 설정하고, 이 파라미터가 옵션으로 생략가능함을 나타내는 Optional이라는 표시도 하게 되는 것이죠. 이런 두가지 어트리뷰는 이미 CLR에 존재했다고 합니다. VB.NET에서는 이미 제공되던 기능이니깐 당연한 이야기겠죠.

여담이지만, VB.NET과 C#개발팀이 통합되었다고 합니다. 서로 같이 크면서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고자 하는 'coevolution'전략을 위함이라고 하는데요. 그 덕분일까요? C#에도 오늘 소개해드리는 기본값을 설정하는 기능이 추가되었고, VB.NET에도 C# 3.0에서 추가되었던 '컬렉션 이니셜라이저'나 '자동으로 구현된 속성'같은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하시면 되겠네요.

그런데 기본값을 설정할 때, 몇가지 규칙이 있는데요. 첫째로는 옵션으로 생략가능한 파라미터는 생략불가능한 파라미터를 모두 선언한 뒤에 나와야 합니다.


위와 같이 옵션인 파라미터가 먼저 나오고, 뒤에 반드시 필요한 파라미터를 선언하면, 옵셔널 파라미터는 반드시 꼭 필요한 파라미터들 뒤에 나와야 한다고 경고메세지가 뜨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ref나 out으로 설정된 파라미터는 기본값을 설정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ref나 out에 대응되는 상수값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죠.

그리고 호출시에 옵셔널 파라미터로 설정된 파라미터에 매개변수를 넘겨주지 않으면, 컴파일러는 DefaultParameterValue 어트리뷰트에 설정된 기본값을 가지고 와서, 그 값을 매개변수로 해서 메서드를 호출하는데 사용하게 됩니다.


- 매개변수에게 이름을 허 하여뢋!

형을 형이라고 부르지 못하고,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한 건 아니지만, 매개변수는 늘 이름없는 설움을 겪어야 했습니다. 파라미터는 이름이라도 갖고 있었죠. 태어나서 이름하나 세상에 남기지 못하는게 얼마나 슬픈....여기까지 하고 이야기 계속 하겠습니다.-_-;

이제 이름붙인 매개변수를 사용하게 되면, 이 모든 장점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만약에 모든 파라미터가 옵셔널 파라미터 라면, 그 중에 값을 넘겨주고 싶은 것들만 이름을 붙여서 매개변수를 넘겨줄 수 있는 것이죠. 기존의 오피스등의 COM 프로그래밍을 할 때, 대부분의 값들이 옵션으로 생략하능한 파라미터지만, C#에서는 그것들을 생략할 방법이 없어서 의미도 없는 값을 반복해서 넘겨줘야 했던 걸 생각하면 굉장히 편해질거라는 생각도 드네요.


이름붙인 매개변수는 메서드를 호출할 때 사용되는 데요. 예제를 보시면요,

class C
{
    static double CalcRatio(
        double fact1 = 90.0,
        double fact2 = 0.9887,
        double fact3 = 33.211)
    {
        return fact1 * fact2 * fact3;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
            CalcRatio(fact1:40.12, fact3:13.11)
            );
    }
}


위의 예제를 보면, 세상에 이런 엉터리 계산식이 있을진 모르겠지만 아무튼 뭔가의 비율을 계산하는 메서드인 CalcRatio가 있습니다. 계산할 때 일반적으로 고정된 상수들이 있을 수 있는데요, 그런 경우를 위해서 기본값을 설정해두었습니다. 그리고 호출하는 부분은 보시면, 'fact1', 'fact3' 파라미터에 넘겨질 값들에 각각 이름을 붙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40.12'는 'fact1'파라미터에 넘겨질 매개변수이고, '13.11'은 'fact3'파라미터에 넘겨질 매개변수 인 것이죠.

매개변수에 이름을 붙이는 건, 꼭 기본값이 있는 옵셔널 파라미터에만 한정되는 않습니다.

class C
{
    static double CalcRatio(
        double superfactor,
        double fact1 = 90.0,
        double fact2 = 0.9887,
        double fact3 = 33.211)
    {
        return superfactor * (fact1 * fact2 * fact3);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
            CalcRatio(fact1:(40.12 / 2), fact3:13.11, superfactor:100)
            );
    }
}


위의 예제와 같이 기본값이 없는 일반 파라미터에 넘겨줄 매개변수에도 이름을 붙일 수 있으며, 매개변수의 순서는 파라미터의 순서와는 전혀 상관없이 배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fact1'의 매개변수처럼 원래 매개변수로 넘겨줄 때 할 수 있는 것 처럼 아무 표현식이든지 올 수 있습니다.


- 마치면서

그동안 아주 오랫동안.... 게으름과 겹치면서 너무 오랫동안 dynamic에 대해서만 이야기를 해왔는데요. 문득 돌아보니 dynamic외에도 다룰 내용이 좀 더 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_-;;;; 머리가 둔하면 이렇죠. 하하하하하>ㅇ<


- 참고자료

1. http://blogs.msdn.com/samng/archive/2009/02/03/named-arguments-optional-arguments-and-default-values.aspx

Welcome to Dynamic C#(16) - dynamic이라도 이건 안되는 거임.

C# 2010. 5. 5. 09:0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Long time no see~

오랜만이죠~? 다행히 기다려주신 분이 없는 거의 없는 관계로 마음은 불편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왜 눈물이 아흙.... 아직 못한 이야기가 조금 있는거 같아써! 조금 더 이야기를 하도록 할께영~ 호호호호-_-


- 상황1. dynamic타입의 변수에 들어있는 값을 변환시키기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다고 가정을 했을 때요,

static void Main()
{
    dynamic d = 10;
    d++;
}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d에는 11이라는 값이 있어야 할 것 같지만, dynamic타입은 실제로는 object타입이기 때문에 다른 결과가 나옵니다. dynamic타입이 실제로는 object라는 건 이전에 이야기 했던 내용인데요, 자세한 내용은 이전포스트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돠. 아무튼 처음에 d에 10을 넣을 때, int에서 object로 박싱이 일어나구요, 두번째 줄에서 d에서 언박싱한 값을 가지고 ++연산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이 값은 다시 박싱되어서 저장되지는 않는다는 게 문제입니다. 그러면 결과는 여전히 10을 가리키겠죠.

그런데 이런 문제는 런타임 바인더의 구조 덕분에 해결이 가능했다고 하는데요. 이전에 말씀드렸듯이 런타임 바인더는 동적인 구문을 적절한 객체와 연산으로 바인딩하고 그 결과를 Expression Trees의 형태로 DLR에게 리턴해줍니다. Expression Trees의 장점은 목표로 하는 형태로 변환되기 전에, 여러가지 변환이나 최적화가 용이하다는 점이 었는데요, Expression Trees에 박싱된 값을 언박싱하고 값을 변화시키는 요소가 있고, 그 값을 다시 박싱해서 저장하는 것도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런형태의 동적인 표현식을 제대로 처리할 수 있다고 하네요.


- 상황2. 중첩된 구조체 연산

이번 문제는 조금 더 알쏭달쏭한데요. '.'으로 여러번 연결된 표현식을 생각해보면요, 각각 부분별로 쪼개셔서 바운딩이 됩니다. 즉 A.B.C.D같은 표현식이 있다고 하면요, A.B에 대한 사이트를 만들고, 다시 그 결과를 .C의 수신자로 하는 사이트를 만들고, 다시 그 결과를 .D의 수신자로 하는 사이트를 만듭니다. 꽤나 현명하게 잘 만든거 같다는 생각이 들긴하는데요. 원래 컴파일러가 하는거랑 같은 방식이기도 하구요. 그런데 문제는 런타임의 구조상 ref형식으로 값을 리턴할 수 없다는 제약때문에 생깁니다. 물론 이런 제약은 CLR의 제약은 아닙니다. 다만 닷넷의 언어중에서 ref 리턴을 지원하는 언어가 없기 때문인데요. 그 말은 만약에 값형 변수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으로 연결된 표현식이 있다면, 대상이 되는 변수의 값은 박싱이 되면서 복사본이 생깁니다. 그리고 이후에 '.'로 연결된 것들은 그 복사본을 대상으로 연산이 수행된다는 것이죠. 예제를 보시면요,

public struct S
{
    public int i;
}

class D
{
    public S s;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ynamic d = new D();
        d.s = default(S);
        d.s.i = 10;
        Console.WriteLine(d.s.i);
    }
}


10이 결과로 찍힐거라고 예상할 수 있지만,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앞에서 설명드린대로, 'd.s.i = 10'에서 구조체 S가 박싱되면서 복사본이 생겼고, 그 복사본의 i에 10을 대입했기 때문에, 원래의 'd.s'의 i값에는 변화가 없는 것이죠. 이 문제는 참고하고 있는 Sam Ng의 2008년 12월 15일자 글에서 어떻게 할지 고민중이라고 적혀있었는데요. 출시된 VS2010에서 확인해본 결과 아무런변화가 없어서, 그대로 두기로 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뭐 결국 핵심은 dynamic은 object랑 비슷하기 때문에 박싱이 일어난다는 점입니다.


- 상황3. 명시적으로 구현된 인터페이스의 메서드

우선 명시적으로 구현된 인터페이스의 메서드가 뭔지 부터 이야기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위 그림을 보면, S가 IEnumerable를 구현한다고 선언을 한 상태인데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방식에 'Implement Interface'와 'Implement Interface Explicitly'가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전자가 우리가 흔히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때 써온 암시적 인터페이스 구현이구요. 후자가 여기서 말씀드릴 명시적 인터페이스 구현입니다. 우선 위의 두 경우에 코드 모양이 어떻게 틀린지 확인해보도록 하지요.

public class S : IEnumerable
{
    public int i;

    #region IEnumerable Members

    public IEnumerator GetEnumerator()
    {
        throw new NotImplementedException();
    }

    #endregion
}

- 암시적 인터페이스 구현의 경우

public class S : IEnumerable
{
    public int i;

    #region IEnumerable Members

    IEnumerator IEnumerable.GetEnumerator()
    {
        throw new NotImplementedException();
    }

    #endregion
}

- 명시적 인터페이스 구현의 경우

틀린 점을 발견하셨나요? 첫째로 명시적 인터페이스 구현의 경우, 메서드 이름인 GetEnumerator앞에 인터페이스의 이름이 '.'과 함께 붙어있습니다. 이 메서드가 어떤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된 건지 명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죠. 그리고 한정자가 없으므로 private입니다. 그러므로 이 메서드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했지만 밖으로 노출이 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명시적인 인터페이스 구현을 하는 경우에는 몇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요. 이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유경상 수석님의 글을 참고하시면 매우 자세하게 아실 수 있습니다. 그럼 명시적 인터페이스 구현에 대한 설명은 여기까지로 하구요, 이게 dynamic과 무슨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와 같은 예제가 있다고 할때 말이죠,

public interface IFoo
{
    void M();
}

class C : IFoo
{
    #region IFoo Members

    void IFoo.M()
    {
        Console.WriteLine("C.M()!!");
    }

    #endregion
}

class D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ynamic d = new C();

        d.M();
    }
}


예상으로는 "C.M()!!"이라는 메세지가 출력될 것 같기도 한데요. 그런데 앞서 말씀드렸던 명시적 인터페이스 구현의 특성 때문에, 런타임에 클래스C에서는 M이라는 이름의 메서드를 찾을수가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런타임 바인더가 호출에 대해서 묶을 수 있는 IFoo라는 타입을 찾을 수 없다고 하네요. 이런 문제 때문에 위의 코드는 아래와 같은 에러를 내게 됩니다.


C라는 타입에 M의 정의가 없다는 에러메세지를 내면서 호출은 실패하게 됩니다.


- 마치면서

이제 비주얼 스튜디오 2010이 정식으로 출시되면서 C# 4.0에 대한 이야기도 현실과 매우 가까운 이야기가 되었습니다. 다만, 제 능력부족으로 글의 내용은 비현실적인거죠-_-;; 아무쪼록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오늘은 여기서 끗~!


- 참고자료

1. http://blogs.msdn.com/samng/archive/2008/12/15/dynamic-in-c-vi-what-dynamic-does-not-do.aspx
2. http://www.simpleisbest.net/archive/2008/06/23/2423.aspx

Welcome to Dynamic C#(15) - A/S for dynamic.

C# 2010. 5. 3. 09:0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긴급 A/S 출동!

제가 글을 쓰면서 공부했던 내용들이 많이 바뀌었습니다-_- 그래서 저도 좀 뒤늦게 그 업데이트를 확인했구요~ 그래서 바뀐 내용에 대해서 A/S들어갑니다~~!


- 오버로드 판별 A/S!

아마 이 시리즈를 관심있게 읽어주신 분이라면!... 아흙 왜 또 눈물이... 아무튼 읽어주신 분이라면 유령메서드라는 걸 보셨을텐데요. 그게 너무 복잡하다보니, 유령메서드랑 관련한 내용은 하나도 채택되지 못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굉장히 간단한 규칙으로 정리를 했습니다. 만약에 어떤 메서드를 호출할 때 dynamic타입의 매개변수가 끼어있다면, 그 메서드에 대한 호출은 동적으로 디스패치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런타임에서 dynamic타입의 매개변수의 실제값에 맞는 타입을 선택한다고 합니다.

class C
{
    static void M(dynamic d) { Console.WriteLine("dynamic"); }
    static void M(string s) { Console.WriteLine("string"); }
    static void M(int i) { Console.WriteLine("int");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ynamic d = "test";
        M(d);
    }
}


위와 같은 예제를 보면, M에 대한 호출은 런타임에 디스패치 됩니다. 그리고 어떤 M이 선택될지는 d의 실제값에 달여있는데요, 여기서는 d의 실제값이 string이기 때문에, 'M(string)'이 선택됩니다. 그러면, M(dynamic)은 어떻게 되는 걸까요? 바뀐 규칙에서 파라미터에서 dynamic타입이 있는 건, object타입이 있는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습니다. 즉 적합한 오버로드가 없을 때, 가장 나중에 선택이 되게 되겠죠.


- 대입형변환 A/S!

dynamic이 끼어있는 형변환 규칙도 약간의 변화가 있는데요, 그 규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모든 타입에서 dynamic타입으로 암시적 형변환이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object로 암시적 형변환이 가능한 타입이라면, dynamic으로도 암시적 형변환이 가능하다.

2. dynamic타입에서는 dynamic과 object를 제외한 다른 어떤 타입으로도 암시적 형변환이 불가능하다.

3. 하지만, 모든 '동적 표현식'은 다른 모든 타입으로 암시적 형변환이 가능하다.

4. 만약에 어떤 타입의 차이점이 dynamic과 object뿐이라면, 서로간에 암시적 형변환이 가능하다.

2, 3번에 대해서 좀 더 들여다 보면요, 타입의 형변환과 표현식의 형변환은 과연 뭐가 틀린걸까요? 일단 표현식의 형번환은 이때까지 '대입 형변환'이라고 불렀던 것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예제를 하나 보면요.

string s = d;

이 형변환은 3번 규칙 때문에 성립합니다. 이 형변환은 동적 표현식에서 string으로의 형변환이지, dynamic타입에서 string으로의 형변환이 아니기 때문이죠. 이외에도 return, foreach, 프로퍼티에 값설정하기 등의 대부분의 경우는 이렇게 처리됩니다.

그렇다면 dynamic타입에서 string타입으로 형변환이 없어야 하는 이유는 뭘까요? covariance를 통해서 컴파일러가 이 형변환을 못하게 막는 걸 한번 확인해보겠습니다.

class C
{
    static void Main()
    {
        IEnumerable<dynamic> ied = null;
        IEnumerable<string> iei = null;
        var x = M(ied, iei);           
    }
    static T M<T>(IEnumerable<T> x, IEnumerable<T> y) { return default(T); } 
}

위 예제는 문제없이 컴파일 됩니다. 그리고 메서드의 타입유추 과정을 통해서 T를 dynamic이라고 골라내는 과정을 거칠텐데요, 그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첫번째 매개변수는 IEnumerable<dynamic>이다. 그러므로 dynamic은 T의 후보가 된다.

2. 두번째 매개변수는 IEnumerable<string>이다. 그러므로 string은 T의 후보가 된다.

3. T의 후보군인 { dynamic, string }을 가지고 고민하는 과정에서 둘 사이의 관계를 보는데. string에서 dynamic으로의 형변환은 있지만, 그 반대는 성립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좀 더 일반적인 타입인 dynamic을 고르게 되는 것이다.

위 과정의 3번 단계에서 만약 dynamic에서 string으로 형변환이 가능했다면, 둘 중에 어떤 타입이 더 일반적인 타입인지를 결정할 수 없게 됩니다. 그렇다면 메서드 타입유추는 모호환 둘의 관계 때문에 실패하게 되겠죠. 그게 바로 dynamic에서 다른 타입으로의 형변환이 금지되어야 하는 이유입니다.

그리고 대입형변환이라는 용어는 아마 살아남지 못한 것 같습니다. C# 4.0 명세서에서 그 용어를 발견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혹시나 싶어서 Chris Burrows에게 질문을 남겨놨으니, 답이오면 반드시 알려드리겠습니다.


- 마치면서

앞서서 열심히 공부하고 적었던 내용이 바뀌고, 또 어떤 내용은 아예 통채로 날아가 버리니 아주 상쾌하네요~! 하하하-_- 그런데 바뀐 내용을 보니깐, 훨씬 간단하고 깔끔해지고, 더 이해하기 쉬워진 것 같아서 좋네요. 그럼 오늘은 여귀까쥐!


- 참고자료

1. http://blogs.msdn.com/cburrows/archive/2010/04/01/errata-dynamic-conversions-and-overload-resolution.aspx

Welcome to Dynamic C#(14) - 철지난 만우절에 낚여서 파닥파닥.

C# 2010. 4. 8. 09:0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뭔소리여

Eric Lippert가 만우절에 쓴 글에 아주 제대로 낚였습니다. C# 4.0이 정식으로 나오기 직전인데, 급하게 추가된 연산자가 있다더군요. 자바에 얼마전에 이런 기능이 추가되어서, C#의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급하게 추가해서 가장 최근버전의 CTP버전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말이었습니다. 추가된 연산자는 '-->'랑 '<--'인데, 전자는  '~로 향해가는'이라는 의미이고, 후자는 '~로 접근하는'이라는 의미라고 합니다. 무슨 말인고 하니....

int x = 10;
// this is read "while x goes to zero"
while (x --> 0)
{
    Console.WriteLine("x = {0}", x);
}

위의 코드에서 while문안의 식은 x가 0에 도달할때까지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int x = 10;
// this is read "while zero is approached by x"
while (0 <-- x)
{
    Console.WriteLine("x = {0}", x);
}

위의 코드에서는 0이 x에 의해서 접근되어질때까지(즉, x가 0으로 접근할 때까지)의 의미를 갖습니다.


제가 귀가 얇아서 일까요? 순간 '혹'해서, '좋은데? 낄낄낄'하고 생각하면서 글을 읽어나갈 무렵, 마지막 줄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만우절인데 얼레리꼴레리 속았지? 속았지? 우헤헤헤헤헤헤'. 저는 낚인줄도 모르고 신나게 파닥파닥 거린셈이죠. 호호호호호호. 글을 보니, C# QA팀의 테스터한명도 낚여서 파닥거렸다고 합니다. 그리고 참고로, '-->'이 연산자는 몇년 전부터 돌아다니는 쫌된 유머라고 하네요. 즉, 'x-- > 0'은 'x --> 0'과 동일하다는 거죠..... 아흙.

namespace Console1
{
 class Progra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x = 10;
   
   while(x --> 0)
   {
    Console.WriteLine("{0}",x);
   }
   
   Console.Read();
  }
 }
}

위의 코드는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오고, while문 안의 조건을 'x-- > 0'으로 바꿔도 결과는 동일합니다.




- 마치면서


사실 저도 이글을 가지고 여러분을 낚아볼려는 생각을 가지고 글을 쓰기 시작했는데, 그랬다가 많은 분들의 호응(?)을 받아서 교훈을 얻을까봐, 소개해드리는 정도로 마쳤습니다. 제가 참 좋아하는 블로거이고, 또 배우러 자주가는 블로그에서 낚일줄은 생각도 못했네요-_- 


- 참고자료

1. http://blogs.msdn.com/ericlippert/archive/2010/04/01/SomeLastMinuteFeatures.aspx

Welcome to Dynamic C#(13) - 아직도 가야할 길.

C# 2010. 1. 20. 09:0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제목이 표절인거 같은데...?

넵. 존경해 마지 않는 스캇 펙의 아직도 가야할 길을 요즘 감명깊게 읽고 있기 때문만은 아니구열. dynamic키워드로 아직도 써야 할 내용이 남아 있기 때문에, 한번 써봤습니당. 역시, 프로그래밍 언어의 현대적인 패러다임을 따라잡는 건, 단순히 사용하는 패턴만 익히는 게 아니라는 걸 다시한번 깨닫게 되네요. 그럼그럼~ 계속해서 한번 가보시져!


- 프로퍼티

d.Foo를 예로들면, d는 dynamic객체이고, Foo는 d속에 살고 있는 멤버 변수나 프로퍼티입니다. 컴파일러가 이런 구문을 만나면, 우선 Foo라는 이름을 payload속에다가 기록합니다. 그리고 런타임에게 d의 실제 타입을 찾아서 연결(바인드)해달라고 요청합니다.
payload : 캡슐화를 통해서 제공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스트림속에서 사용자의 정보등을 나타내는 부분(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Payload). 여기서는 C# 런타임 바인더가 해당 구문을 제대로 바인드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기록해 놓는 데이터 구조를 뜻합니당.

그리고 이런 프로퍼티는 항상 3가지경우 중 한가지경우에서 쓰이는데요. 값을 읽어오거나, 값을 대입하거나, 둘다 하거나(+=같이). 컴파일러가 사용된 모양을 보고, 어떻게 사용하려고 하는지도 payload에 같이 기록합니다. 즉, 읽기만 하는 경우에는 해당 프로퍼티는 읽기전용으로 기록을 하는 식으로 말이죠.

그리고 컴파일러는 이런 접근이 필드에 접근하는건지, 프로퍼티에 접근하는건지 딱히 구분하지 않습니다. 그건 나중에, 런타임이 구분을 하게됩니다. 그리고 컴파일할때, 이런 구문의 리턴 타입은 dynamic으로 설정됩니다.


- 인덱서

인덱서는 두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매개변수가 있는 프로퍼티, 두번째는 배열이나 리스트같은 집합의 이름을 통한 메서드 호출. dynamic과 연관지어서 생각할때는 후자가 훨씬 도움이 됩니다. 메서드의 경우와 같이 인덱서도 정적으로 바운드 될 수 있지만, dynamic타입의 매개변수가 주어지고, 그 매개변수가 dynamic타입을 받는 인덱서로 정적 바운드가 되지 않는 경우, 오버로드 판별 과정에 유령이 끼어들게 됩니다. 그래서 인덱서의 수신자(receiver)는 정적타입이지만, 매개변수가 dynamic타입이라서 런타임에 늦은 바인딩이 일어나게 됩니다. 말로 설명하니깐, 깝깝하시죠? 실력부족으로 더 이상 말로는 깔끔하게 설명을 못드리겠네요-_-;; 예제로 설명을 드리면요.

public class C
{
    public int this[int i]
    {
        get
        {
            return i;
        }
    }

    public int this[dynamic d]
    {
        get
        {
            return d;
        }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 c = new C();
        Console.WriteLine(c[5]);
        dynamic d = 7;
        Console.WriteLine(c[d]);
    }
}


위와 같은 코드를 보시면, C에 인덱서가 두개가 있습니다. 하나는 int를 매개변수로, 하나는 dynamic을 매개변수로 받죠. 그리고 Main메서드 안에서 하나는 int를, 하나는 dynamic타입의 매개변수를 넘겨주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 두번째 인덱서는 언제 어떻게 바인드될까요? 이경우는 비록 d가 타입이 dynamic이지만, 인덱서의 오버로드중에, 매개변수를 dynamic타입으로 받는 인덱서가 있습니다. 그래서 컴파일하는 시점에 "c[d]"이 인덱서 호출은 "public int this[dynamic d]"이 인덱서로 바인드 됩니다. 정적바인드가 되는거죠.

그런데, 만약에 dynamic을 받는 오버로드가 없다고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인덱서 호출을 받는 수신자는 c이고 c의 타입은 정적 타입인 C입니다. 하지만, 매개변수가 dynamic이죠. 그런데, dynamic과 일치하는 오버로드가 없습니다. 그래서 이때, 지지난 포스트에서 설명드렸던, 유령이 끼어들게 되는거죠.

메서드 처럼 생각하는게 편하다는 말씀은 드렸지만, 사실 프로퍼티와 유사한 면도 있습니다. 인덱서호출 역시 payload에다가 읽기, 쓰기등을 어떻게 하는지 기록합니다. 그래서 C# 런타임 바인더가 그 정보를 바탕으로 바인드할 수 있도록 말이죠. 그리고 인덱서의 리턴타입 역시 컴파일하는 시점에서는 dynamic으로 간주됩니다.


- 형변환

지지난 포스트에서 설명을 드릴때, dynamic은 다른 타입으로 암시적 형변환은 안되지만 되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을 드렸었습니다. 그리고 지난 포스트에서 사실 그런 형변환이 대입 형변환이라는 설명도 드렸구요~. 형변환의 경우는 payload가 매우 단순해집니다. 왜냐면, 컴파일러는 이미 어떤 타입으로 형변환을 하려고 하는지 알고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컴파일러는 그냥 payload에 형변환 하려고 하는 타입을 기록하고, 런타임 바인더에게 가능한 모든 대입 형변환(형변환 연산자를 쓰는 경우에는 명시적 형변환도 같이)을 시도해보라고 이야기 해줍니다. 물론, dynamic타입이 아니라, 런타임에 결정될 실제 타입에서 목표 타입으로 시도해보겠죠.

형변환의 경우는 다른 모든 경우와 다르게 컴파일하는 시점에서 dynamic이 아닌 형변환의 목표타입을 리턴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이미 어떤 타입으로 형변환하려고 하는지 알 수 있게 때문이죠.


- 연산자

연산자는 초큼 특이합니다. 그냥 아무생각없이 훑어보면, 동적인 뭔가가 일어난다고 느끼기 힘들기 때문이죠. 그런데, d+1 같은 간단한 구문도 런타임에 바인드 되어야 합니다. 그 이유는 사용자정의 연산자가 끼어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dynamic 매개변수를 갖는 모든 연산은 런타임에 바인드됩니다. +=나 -=같은 연산자도 포함해서 말이죠.

컴파일러는 연산자를 보면, d.Foo += 10 같이 멤버에 대입하는 연산이 있는지 혹은, d += 10 같이 변수에 대입하는 연산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d를 ref를 통해 넘겨서 변경된 값이 유지되어야 하는지 확인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d.Foo += x 같은 구문이 있을 때, d.Foo가 바인드결과 delegate나 event타입이라면, 앞의 구문은 이벤트 수신자 추가 같은 적절한 메서드를 호출하도록 컴파일러가 연결해줍니다.


- 델리게이트 호출

데일게이트 호출은 메서드와 굉장히 유사합니다. 딱 한가지 틀린 점이 있다면, 호출되는 메서드의 이름이 명시되지 않는다는 것 뿐이죠. 그래서, 아래 예제의 두 호출은 모두 런타임에 바인드됩니다.

public class C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Del c = new MyDel();
        dynamic d = new MyDel();

        d();
        c(d);
    }
}


첫번째 호출은 매개변수가 없는 호출을 런타임에 바인드하게 됩니다. 런타임 바인더가 런타임에 호출의 수신자가 델리게이트 타입이 맞는지 확인하고 해당 델리게이트 시그니처와 일치하는 호출이 있는지 오버로드 판별을 통해서 찾게 됩니다.

두번째 호출은 매개변수가 dynamic타입이기 때문에, 런타임에 바인드됩니다. 컴파일러가 컴파일시점에서 c의 타입이 델리게이트라는 걸 확인할 수 있지만, 실제 오버로드 판별은 런타임에 가서 끝나게 됩니다.


- 마치면서

이제야 저는 dynamic에 대한 내용들이 머리속에서 아주 조금 자리를 잡은 듯한 느낌이네요. 저도 이런데 혼란스러웠던 지난 포스트를 보신 분들은 더 하시겠죠-_- 최대한! 최대한! 앞으로도 열심히 적겠습니다. 그럼 다음포스트에서 뵙죠~.

- 참고자료

1. http://blogs.msdn.com/samng/archive/2008/12/11/dynamic-in-c-v-indexers-operators-and-more.aspx

Welcome to Dynamic C#(12) - dynamic은 외로운 아이.

C# 2010. 1. 18. 09:0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뭐시 외로운 아이여? 스타아닌겨?

네. 확실히 C# 4.0의 가장 큰 키워드는 Dynamic이기 때문에, dynamic은 스타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화려한 모습뒤에 감쳐진 그들의 일상사는 때때로 자살같은 비극적인 사건을 통해서 세간에 알려지곤 하죠. 그럴때마다 세삼스럽게 사람들은 화려한 일상뒤의 모습은 변비때문에 우울해하는 것 같이, 보통사람과 전혀 다르지 않음을 재확인 합니다..... 왜 이런 헛소리를 또 하고 있을까요-_-;;; 아무튼. dynamic은 초큼 외로운 아이입니다. 증거를 제시해드리죠.



그림1. 출처 : http://blogs.msdn.com/cburrows/archive/2008/11/06/c-dynamic-part-iv.aspx

네. 다른 타입들은 System.Object로 부터 아주 사이좋게 이리저리 연결되어 있습니다만, dynamic은 천상천하유아독존입니다. 그저 혼자 있을 뿐이지요. 어린이집에서도 유별난 애들은 꼭 걔네들 기분에 잘 맞춰줘야 해서 선생님들이 고생을 하기도 하는데요. dynamic역시 독특한 면을 갖고 있습니다. 지난 포스트에 이어서 dynamic의 형변환 룰에 대해서 알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dynamic에서 dynamic으로 동일한 형변환이 가능
2. 모든 참조형 타입에서 dynamic으로 암시적인 참조형변환이 가능
3. 모든 값형 타입에서 dynamic으로 암시적인 박싱형변환이 가능
4. dynamic에서 모든 참조형 타입으로 명시적인 참조형변환이 가능
5. dynamic에서 모든 값형 타입으로 명시적인 언박싱 형변환이 가능
리스트1. dynamic에서 다른 타입으로 형변환 가능여부.

  아래부분에 줄로 그어 버린 부분은 정식버전이 출시되면서 개념이 바뀐 부분들입니다. 그리고 밑에서 설명드리는 '대입형변환'이라는 용어도 여전히 의미가 있는지 불분명합니다. 다만, C# 4.0 명세서에 보면 '대입형변환'이라는 개념이 없는 걸로 봐서는 설명을 위해서 도입한 개념이 아닌가 싶은데요, 이에 관해서 Chris Burrows에게 질문을 남겨놨는데요, 답이 오면 바로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바뀐 내용에 대해서는 이 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매우 직관적으로 보이긴 하지만, 좀 생각해보면 이상한 점들이 발견됩니다. 그 첫번째가 바로 dynamic에서 object로 암시적인 형변환이 없다는 사실인데요. 위에서 1, 4번에서 언급했듯이 dynamic에서 dynamic을 제외한 모든 참조형타입으로 암시적인 형변환이 없다고 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연산을 하는 도중에 둘을 구분해내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근데, 아래와 같은 코드가 컴파일 되고 실행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dynamic d = null;
object o = d;

이건 분명히 암시적 형변환 처럼 보이는데, 왜 이게 컴파일이 되는 걸까요? 사실, 두번째줄은 암시적 형변환이 아니라 대입 형변환입니다. 대입 형변환은 또 뭘까요?

그림 2. 출처 : http://blogs.msdn.com/cburrows/archive/2008/11/11/c-dynamic-part-v.aspx

위 그림을 보시면, 형변환이 총 3가지로 분류가 되는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대입 형변환은 명시적 형변환과 암시적 형변환의 사이에 위치해 있는데요. 모든 대입 형변환은 사실 명시적 형변환이며, 모든 암시적 형변환은 대입 형변환 인거죠. 왜 이런 걸 새로 도입했어야 할까요? 사실 C# 4.0작업을 하면서 dynamic에서 다른 타입으로 암시적 형변환 도입을 검토했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하게 되면 문제가 생기는데요. 바로, dynamic을 통해서 아무타입에서 아무타입으로 형변환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 문제를 오버로드 판별을 예로 들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public class C
{
    public static void M(int i){}

    public static void M(string s){}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ynamic d = GetSomeDynamic();
        C.M(d);
    }
}

코드1. 만약 암시적 형변환이 가능하다면?

위와 같은 코드가 있다고 할때요, 과연 어떤 메서드가 실행되어야 할까요? dynamic에서 모든 타입으로 암시적 형변환이 있다면, dynamic에서 int도 dynamic에서 string도 가능한 상황이 됩니다. 물론, dynamic에서 object같이 dynamic에서 int보다 더 나은 걸 찾을 수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훨씬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모호함 때문에 dynamic에서 다른 타입으로 형변환을 할때는 명시적으로 선언을 하게 제한을 둔 거죠.

그렇다면, 대입 형변환은 또 뭘까요?

1. dynamic에서 모든 참조형 타입으로 대입 참조 형변환이 가능
2. dynamic에서 모든 값형 타입으로 대입 언박싱 형변환이 가능
리스트2. 대입 형변환의 설명

[리스트1]에서 4,5번을 보면 명시적 형변환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죠? 사실은 그 명시적 형변환이 바로 이 대입 형변환을 말하는 겁니다. 모든 대입 형변환은 명시적 형변환이라고 말씀드렸던 걸 떠올리시면 고개가 절로 끄덕끄덕....교회 다니시는 분들은 교회로 끄덕끄덕 하실겁니다. 그리고 리스트2의 모든 형변환과 암시적 형변환을 모두 합하면 바로 대입 형변환이 되는 거죠.


- 그래그래 어디 계속 해봐.

대입이 일어나는 곳이 바로 컴파일러가 대입 형변환을 시전하는 곳입니다.

dynamic d = GetSomeDynamic();
Worksheet ws = d; //대입 형변환

이거 말고도, 대입 비스무리한 것들은 모두 대입 형변환을 사용합니다. return과 yield 그리고 프로퍼티와 인덱서, 배열 초기화구문, 그리고 foreach나 using같은 구문말이죠.

return d; //return할 타입으로 대입 형변환
yield return d; //반복자의 타입으로 대입 형변환
foo.Prop; //Prop의 타입으로 대입 형변환
foo[1] = d; //인덱서의 타입으로 대입 형변환
bool[] ba = new bool[] { true, d }; //bool로 대입 형변환
foreach(var x in d) {} //IEnumerable로 대입 형변환
using (d) {} //IDisposable로 대입 형변환
리스트3. 대입 형변환이 어디어디서 끼어드는지!

하지만, 이런 대입 형변환을 사용하지 않는 곳 중에 하나가 오버로드 판별입니다. [코드1]에서 보셨듯이 만약에 메서드를 호출하는데 대입 형변환을 적용하게 되면, 매번 메서드를 호출할때마다 모호함때문에 캐고생을 하게 될겁니다. 하지만, 대입 형변환을 적용하지 않는다고 해도, [코드1]은 제대로 컴파일 되지 않을거 같습니다. 왜냐면, d의 타입인 dynamic에서 C의 두 오버로드가 받는 파라미터 타입인 int와 string으로 형변환이 불가능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런 코드가 컴파일 되고 잘 돌아가야만 하니깐, 바로 지난 포스트에서 언급했던 유령 메서드가 끼어들게 되는거죠.


- 마치면서

어찌 퍼즐 조각이 좀 맞아 들어가시나요? 저도 글을 쓰면서 다시한번 자세히 읽다보니 퍼즐조각이 조금씩 맞아들어가는 느낌이 드는데요. 꼭 무슨 그것이 알고싶다에서 사건 조사하는 거 같은 기분이네요-_-. 그럼 다음 포스트에서 뵙져!!!


- 참고자료

1. http://blogs.msdn.com/cburrows/archive/2008/11/06/c-dynamic-part-iv.aspx
2. http://blogs.msdn.com/cburrows/archive/2008/11/11/c-dynamic-part-v.aspx